우리는 왜 기후 운동에 참여하는가?: 가치, 정책, 기후변화 요인을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시민을 대상으로 가치, 정책, 기후변화 요인이 기후운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을 가진 시민일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소극적인 반면, 정책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기후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민들은 가치관이나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족,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기후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 기후운동에 참여하는 시민의 대부분은 정부가 제시한 기후변화 정책에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하기 위함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factors affecting Korean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climate movement, including their values, government policies, and climate change effects. The analysis found that citizens with materialistic values were more passive in participating in the climate movement, while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olicy literacy tended to be more active participants in the climate movement. Thus, citizens do not participate in the climate movement based on their dissatisfaction with values, government policies, or their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solving climate change problems. It is believed that most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climate movement are doing so to express their critical opinions related to the government's climate change policies.
Keywords:
Climate Movement, Policy Literacy, Climate Justice, Climate Change키워드:
기후운동, 정책 리터러시, 기후정의, 기후변화I. 서론
세계 각 국가들은 지난 2015년 파리 협정을 채택하였으며,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를 자율적으로 설정하고 이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30년까지 2018년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정과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NDC 달성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글로벌카본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GCP)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 국가 중 219개 국가 중 9위이며(Global Carbon Project, 2021), NDC의 개정안이 보다 상향된 감축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이의 달성 여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나아가 기후변화 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인간 생활양식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인해 기후변화는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Wicked-Problem)로 평가받고 있으며, 정책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행위자들의 협력과 합의가 요구된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의 제12조에서는 기후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비정부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강조(Action for Climate Empowerment)하고 있으며, 유럽 등의 국가에서는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들의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기후문제 해결에 대한 시급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대중적인 기후운동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며(박선아, 2017),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소수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시민들의 기후운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그간 한국 사회에서 기후운동의 대중화에 대한 논의 등이 이루어 졌으나, 개인의 특성과 기후 운동 참여 간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치, 정책, 기후변화 요인을 중심으로 기후운동 참여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기후운동의 중요성과 선행연구의 검토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의 해결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실시한 「글로벌 시대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인원은 약 44.4% 이며, 국민 34.3% , 기업 21.3% 순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연구원에서 실시한 「2022 국민환경의식조사」에서도 환경보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 37.2%, 일반 국민 28.9%, 기업 26.5%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후변화 문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이슈가 얽혀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기업・시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의와 조정이 필수적이다.
기후 운동은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운동의 한 형태이며, 절차적 기후정의(Procedure climate justice)를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기후정의란 일반적으로 기후변화를 둘러싼 환경정의를 의미하며(윤순진, 2008), 학자들 간에 다양한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예컨대, 기후정의는 환경정의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분배적 정의, 실질적 정의, 절차적 정의의 세 개념으로 제시되기도 하고(윤순진, 2008), 이밖에 분배적 정의, 절차적 정의, 생산적 정의, 인정적 정의의 개념으로 구성되기도 한다(한상운 외, 2019).
이중 절차적 기후정의는 정부가 기후변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숙의의 과정이 실질적・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윤순진, 2008; 한상운 외, 2019). 그러나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숙의 과정이 실질적・제도적으로 보장되지 않는다면, 정책에 대한 정당성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정책 추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후 운동은 절차적 기후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적인 기후 운동을 찾아보기 힘들 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연구 또한 소수에 불과한 상황이다.
기후 운동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규범적인 측면 또는 사례를 중심으로 기후운동의 필요성과 과정을 설명해오고 있다. 예컨대, 김지혜(2023)는 한국 기후운동의 역사에서 가장 대규모의 행사로 평가받는 924 정의 행진의 추진 과정을 분석한 바 있으며, 연대와 동질성에 기반한 류대(fluidarity)의 개념을 통해 기후 실천의 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최규연(2023)은 ‘미래를 위한 금요일(Fridays for Future, FFF)’ 기후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을 이룬 배경과 동력을 분석한 바 있다. 분석 결과, FFF가 확산된 이유로는 첫째, 다양한 기후의식의 포괄적인 수렴 둘째, 제도정치에 대한 비판 셋째, 결석 시위와 같은 온건한 운동방식을 통해 다양한 집단의 용이한 참여 넷째, 직접적인 기후정책의 개입 보다는 사회적인 연대를 형성함으로써 유의미한 사회적 파급력 발휘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선행 연구들은 주로 기후 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형성과정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기후 운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기후 운동의 주체는 ‘시민’이며, 기후운동의 대중화(大衆化)를 고려한다면 시민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즉, 시민들은 어떠한 이유 혹은 요인에 따라서 기후운동에 참여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후 운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2. 기후운동 참여의 영향요인
(1) 물질주의와 탈물질주의
Inglehart(1971)에 의해 제시된 탈(脫)물질주의는 점차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산업 사회에서 물질적인 풍요를 중요시 여기던 가치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산업사회에서 시민은 자신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을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경제성장, 치안과 같은 가치를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치안 등이 충족되는 후기 산업 사회(Post-industrial societies)에서는 기존의 가치보다 개인의 삶의 질이나 의견을 표출하는 것에 보다 큰 가치를 두게 된다.
이처럼 탈(脫)물질주의는 다양성 존중, 삶의 질, 정치 참여, 자기표현, 환경 보호 등을 중시하는 가치를 의미한다(김서용・김선희, 2016; 박재흥・강수택, 2012). 따라서 탈(脫)물질주의 가치를 지향하는 시민들은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Inglehart(1971)는 탈물질주의 확산이 환경운동, 평화운동, 반핵운동과 같은 새로운 사회운동들이 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고 있다(강수택・박재흥, 2011; Inglehart, 1971). 또한 강수택・박재홍(2011)의 연구에서도 탈물질주의 가치 성향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사회운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기후 변화 문제는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환경 문제이며,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기후운동들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록 우리나라 시민들을 대상으로 기후 운동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지만 물질주의 및 탈(脫)물질주의는 기후변화 대응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맺을 것으로 추측된다. 예컨대, 김서용・김선희(2016)의 연구에서는 물질주의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일수록 기후변화 대응행동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희제・허주영(2010: 20)의 연구에서도 친환경행동의 결정요인으로 환경 의식과 같은 가치관의 역할을 강조하는 탈물질주의 명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물질주의 또는 탈물질주의는 기후운동 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1-1(H1-1): 물질주의를 추구할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소극적일 것이다.
- 가설1-2(H1-2): 탈물질주의를 추구할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다.
(2) 과학기술 신뢰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는 데에는 과학 공동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특히, IPCC는 현 시대에서 기후 변화가 실존하는 문제임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의 위험성 평가, 대응 전략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민간 부문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CO2)의 포집・감축 기술, 에너지 효율 기술 개발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김서용・김선희, 2016). 또한 일반적인 시민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과학기술을 평가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 또는 과학자들을 얼마나 신뢰하느냐에 따라, 기후변화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Hmielowski et al.(2014)은 과학자에 대한 믿음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기후변화가 실제 발생하고 있다는 믿음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서용・김선희(2016)와 박희제・허주영(2012) 연구에서도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또는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시민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중요하지만, 전문가들의 영역이므로, 일반적인 시민들은 이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기후변화 문제 해결이 과학자 또는 전문가의 역할로 인지함으로써 기후운동 참여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 가설2(H2).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소극적일 것이다.
(1) 정책 리터러시
일반적으로 리터러시(Literacy)의 개념은 특정한 대상의 문해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책 리터러시는 특정한 정책 분야와 관련된 정책 지식 또는 이해의 수준을 의미하며, 광의적인 측면에서 이를 활용하는 역량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문승민, 2022; 윤영석・윤지웅, 2018).
현대 숙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책 리터러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숙의 민주주의가 정보를 가진 참여적인 시민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윤영석・윤지웅, 2018; Fishkin, 1991; Habermas, 1991). 즉, 시민들은 합리적인 정보와 근거들을 바탕으로 특정한 문제에 대한 대안들을 마련하는 과정을 통해 공론의 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정책 리터러시는 특정한 정책과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에 대한 탐색과 이의 해결 방안을 탐색해나갈 수 있다.
나아가 정책 리터러시는 정책 과정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정책 수용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의 내용과 속성에 따라, 참여자들 간에 수용성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정책에 대한 참여자들의 수용성이 낮은 경우, 광범위하고 사회적인 갈등과 사회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현재 온실가스 감축을 둘러싼 우리사회의 갈등상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후변화 정책은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완화 정책은 온실가스(특히, CO2) 배출 감축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산업규제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감축 목표를 둘러싸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에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높은 수준의 정책 리터러시를 갖춘 시민은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정부의 정책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견해를 효과적으로 표명하고 소통할 수 있다(윤영석・윤지웅, 2018). 또한 정부의 정책과정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 정책의 실행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표명할 것으로 예측되어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3(H3): 정책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다.
(2) 정책 만족도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은 고객 지향적인 행정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 만족도는 정부의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명철, 2013). 이는 정부나 공무원의 필요에 의해 정책을 추진할 경우, 시민의 입장과 수요와 괴리 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한 비효율과 예산 낭비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입장과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문승민, 2022).
한편, 시민들은 자신의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제공받기 원하지만, 정부의 정책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시민들이 직접 정책의 결정 및 집행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정치적 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정책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민경 외(2014)의 연구에서는 주민의 참여와 분권을 강조하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운영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가 주민자력형 쇠퇴주거 재생사업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정책 과정에서 시민들의 참여는 정책 만족도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정책의 정당성(legitimacy)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나아가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시민참여형 공론조사, 시민배심원제, 주민공모와 같은 주민 참여 기반 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윤영석・윤지웅, 2018).
정부가 주도하는 정책이 가치의 권위적인 배분을 통해 특정한 대상에게 불공평하거나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나아가 특정한 대상에게 불공평하거나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다 줄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개선 요구 사항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 운동은 시민의 의견을 집약 및 표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 개선에 대한 사회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정책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요 수단이 된다(Rochon & Mazmanian, 1993). 이 과정에서 사회 운동이 시민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는다면, 정부는 이러한 의견을 수용함으로써 정책을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만족수준이 낮을수록 기후운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정부 정책의 변화를 시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 가설4(H4): 기후변화 정책 만족도 수준이 낮을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다.
(3) 정부 신뢰
정부 신뢰는 정책 과정에서 국민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행정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주요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문승민・최선미, 2018; 손호중・채원호, 2005). 그만큼 정부 신뢰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정의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민들의 기대하는 정부의 역할에 따라 운영되는지의 여부(Hetherington, 1998: 791)” 또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국민이 정부의 행동(정책)에 대해하여 취하는 긍정적인 기대나 심리적 지지”로 정의된다(손호중・채원호, 2005:89). 따라서 시민들이 정부에 대해 높은 신뢰감을 갖을 경우,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협력적인 태도와 지지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환경연구원(KEI)에서 발표한 「2022 국민환경의식 조사」 결과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해당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약 82.3%는 기후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 23.1%는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로 ‘기후변화 피해(폭염, 폭설, 한파, 집중호우 등) 및 대응’을 선택한 바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 문제의 중요성・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일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국민은 약 24.4%로 나타나, 그렇지 않다고 인식하는 국민(약 25.1%)에 비해 저조했다. 이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의 해결에 대해 적극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정부에 대한 신뢰감이 낮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시민들이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감을 가질 경우에는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비협력적인 태도를 보일 뿐만 아니라, 불만을 표출함으로써 사회적인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2015년 기준 우리나라는 OECD 37개국 여섯 번째로 사회갈등 지수가 높은 국가라는 점에서 정책 과정에서 정부 신뢰가 중요하다(박준・정동재, 2018). 따라서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이 낮을수록 시민들은 기후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정부가 기후변화 문제 해결 촉구에 나설 것으로 예측된다.
- 가설5(H5):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이 낮을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다.
(1)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위험은 기후 변화와 같이 특정한 환경현상에 대해 자신과 사회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을 의미한다(김서용・김선희, 2016; O'Conner et al., 1999). 이러한 점에서 개인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분석한 많은 선행 연구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 지각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오고 있다. 예컨대,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 인식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의 녹색구매, 불편함 느끼기, 운전 덜하기와 같은 대응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이레 외,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라고 가정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6(H6).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기후운동 참여에 적극적일 것이다.
Ⅲ. 연구 설계
1. 연구 자료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실시한 「글로벌 시대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인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업인 ㈜피앰아이에 의뢰하여, 2020년 3월 27일부터 2020년 4월 2일까지 온라인/모바일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만20세 ~ 69세 전국 성인 남녀이며,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통계(2020.02)에 기반해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총 1,000명의 연구 표본을 구성하였다. 다음 <표 1>는 본 연구의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먼저, 응답자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 51.0% 여성 49.0%로 성별 간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구성은 50대(23.5%)와 40대(22.4%)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30대(18.9%), 20대(18.4%), 60대(16.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인구학적 특성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다음으로 혼인 상태는 기혼이 65.5% 미혼 및 기타가 34.5%로 나타났다. 정치적인 이념의 경우 보수 21.1%, 중도 48.8%, 진보 30.1%로 나타나, 중도 및 진보층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거주 지역은 인천/경기가 31.3%, 서울 19.2%, 부산/울산/경남 15.7% 순으로 나타났다. 즉, 수도권에 거주하는 인구가 50.5%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인구의 과반수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응답자의 학력은 고졸이하 대학교 졸업 56.0%, 고졸 이하 23.6% 순이다. 대학교 졸업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고등교육의 보편화가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600만원 이상이 22.6%, 300-400만원 미만이 20.9%, 400-500만원 미만이 18.2%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소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2. 변수 및 측정도구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기후운동의 참여 여부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시민들을 대상으로 기후운동의 참여를 측정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운동이 사회운동의 한 유형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 유형의 기후 운동을 제시하고 이중 한 가지 이상의 운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면 1, 없다면 0으로 코딩하였다. 즉, 기후운동의 참여 여부는 더미변수로 구성된다. 네 가지 유형의 기후 운동은 ①기후변화를 대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단체에 가입한 경험 ②지난 1년간 기후변화와 관련된 청원서에 서명 경험 ③지난 1년간 기후변화와 관련된 단체에 기부한 경험 ④지난 1년간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집회/시위 참가 경험이다.
(1) 물질주의와 탈물질주의
본 연구는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를 구분하기 위해 잉글하트(1980)가 고안하고 박재묵・이정림(2010)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1) 측정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먼저,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의 구분을 위해 “귀하는 다음 목표가 국가의 장기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만 선택해주세요”라는 질문을 제시 한 후, 12개의 문항 중에서 A, B, C 각 영역에서 2개씩 총 6개를 선택하도록 요구하였다(박재묵・이정림, 2010: 63). 각각의 영역(A, B, C)에서 물질주의 및 탈물질질주의 가치 항목을 5개 이상의 선택할 경우, 각각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로 분류한다. 반면, 각 항목에서 5개 이하의 항목을 선택하는 응답자는 혼합형으로 분류된다(박재묵・이정림, 2010: 63).
(2) 과학기술 신뢰
과학기술 신뢰를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희제・허주영(2013: 81)의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총 9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과학기술의 영향에 대한 5개 문항, 과학자의 가치중립성과 사회기여도에 대한 2개 문항, 정보원으로서 정부산하연구기관과 대학에 대한 신뢰를 묻는 2가지 문항이다. 다음으로 김서용・김선희(2016)의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총 4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이처럼 선행연구들은 과학기술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도구를 활용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과학기술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총 7가지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7가지의 측정도구는 박희제・허주영(2013)의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들 중에서 정부산하연구기관과 대학에 대한 신뢰를 묻는 문항을 제외한 문항들로 구성된다.
(3) 정책 리터러시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리터러시를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윤영석・윤지웅(2018)의 연구에서는 총 6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해 정책 리터러시를 측정하였다. 측정 내용으로는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기후변화 관련 정책 6개(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에너지 보급확대,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기후변화 적응 사회인프라 강화, 기후변화 교육 및 녹색생활 실천,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강화)의 이해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문승민(2022)의 연구는 윤영석・윤지웅(2018)의 연구와 동일하게 총 6개의 측정도구(정책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활용해 정책 리터러시를 측정하였다. 이처럼 선행연구들은 기후변화 정책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기후변화 관련 정책의 이해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영석・윤지웅(2018), 문승민(2022)의 연구와 동일하게 총 6가지의 측정도구를 활용해 기후변화 정책 리터러시를 측정하고자 한다.
(4) 정책 만족도와 정부 신뢰
첫째, 기후변화 정책의 만족도를 측정한 선행연구들의 검토 결과, 주로 복수의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유나리・문승민(2020)의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총 9개 분야의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①신재생 에너지의 확대 ②전기차 구매 보조금 확대 및 관련 인프라 구축 ③온실가스 감축 ④이산화탄소 흡수원(조림 등) 조성 ⑤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을 위한 R&D 예산 확대 ⑥기후변화 관련 산업 육성 ⑦기후변화 전문인력 육성지원 확대(대학원 개설 등 전문 교육프로그램 마련) ⑧주변국과의 외교적 해결 ⑨원자력 에너지의 확대로 구성된다. 또한 문승민(2022)의 연구에서도 앞선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정책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기후변화 정책들과 관련하여, 정책 만족도를 측정하는 연구는 소수에 불과한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도 유나리・문승민(2020), 문승민(2022)의 연구에서 활용한 측정도구 9개를 활용한다.
둘째, 정부 신뢰를 측정한 선행연구들의 검토 결과, 주로 단일 또는 복수의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김정숙・정다정(2019)과 김정숙・황창호(2021)는 ‘나는 정부를 신뢰한다’와 같은 단일문항을 활용하였으며, 황창호 외(2015)는 ‘우리나라 정부는 신뢰할만하다’와 같은 단일 문항을 활용했다. 한편, 김지현・문명재(2021)의 연구에서는 3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나는 정부를 신뢰한다.’, ‘정부의 정책 때문에 손해를 입어도 기꺼이 감수할 용의가 있다’,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을 면밀히 알지 못할지라도 정부가 하는 결정을 옳다고 받아들인다’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연구들로는 문승민・최선미(2018), 이슬기 외(2021) 등의 연구가 있다. 이처럼 정부 신뢰를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있으나, 단일 측정도구에 비해 다수의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5) 지각된 위험성
지각된 위험성을 측정한 선행연구들의 검토 결과, 주로 단일 또는 복수의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유나리・문승민(2020)과 문승민(2022)의 연구에서는 “귀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기후변화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을 활용하고 있다. 한편, 김서용・김선희(2016)의 연구에서는 2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지구 온난화가 나에게 미칠 부정적 영향을 걱정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우리 가족에게 피해를 줄까 걱정이다’로 구성된다. 박이레 외(2021)의 연구에서는 3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가뭄・폭우・산사태의 발생’, ‘생물다양성 감소(동・식물 멸종 등)’, ‘감염병 유행)’로 구성된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성(지각된 위험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있으나, 정부신뢰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일 측정도구에 비해 다수의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본 연구의 통제변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치적 성향으로 구성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구체적으로 나이, 성별, 학력, 소득수준 등으로 구성된다. 나이는 응답자의 만(세) 나이를 측정하였다. 성별은 남성과 여성의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준거 더미는 남성이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하,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의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준거 더미는 대학교 졸업이다. 소득 수준은 2020년 기준 월평균 가구소득액인 4,749,174원을 중심으로 더미변수를 구성하였다. 즉, 월평균 가구소득액 구간은 400만원 이하, 400만원-5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의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준거 더미는 400만원-500만원 미만이다. 정치적 성향은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되며, 매우 보수적(1) ~ 매우 진보적(5)으로 측정하였다. 다음 <표 3>는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변수들의 측정도구와 방식을 나타낸다.
3.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본 연구는 변수의 측정 과정에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요인분석(Principal-component factors)과 베리맥스 직각회전(orthogonal varimax)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내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31개의 측정도구가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측정도구의 내용 타당성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크론바흐의 알파 계수(Cronbach's alpha)의 값을 확인하여 측정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알파 계수는 각각 기술 과학기술 신뢰(a=.802), 정책 만족도(a=.889), 정책 리터러시(a=.836), 정부 신뢰(a=.802), 지각된 위험(a=.727)로 나타나 변수들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을 위해 측정 도구의 평균값을 활용하였다.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결과
<표 5>는 기술통계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종속 변수인 기후운동 참여 여부는 청원서 서명(35.5%), 단체 기부(22.5%), 단체 가입(14.0%), 집회/시위(10.8%)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류태건・차재권(2021)의 연구결과와 비슷하다. 류태건・차재권은 세계가치조사(WVS)를 활용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진정서 서명, 집회시위, 보이콧, 파업과 같은 정치활동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시기 내 진정서 서명은 평균 35.8%, 집회/시위는 평균 1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요 독립 및 통제변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재묵・이정림(2010)의 연구에서 제시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물질주의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혼합형으로 전체 응답자의 71.0%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물질주의자 25.8%, 탈물질주의자 3.2%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 신뢰(3.254), 정책 리터러시(3.233), 정책 만족도(3.162), 정부 신뢰(3.054) 변수는 평균값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각된 위험 변수의 평균값은 3.948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성향의 평균값은 3.096이며, 이는 정치적 성향이 중도적임을 의미한다.
<표 6>는 본 연구의 주요 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주요 변수들 간에 피어슨 상관 계수의 값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068에서 0.398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약한 양적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책만족도와 정부 신뢰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의 값은 .56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강한 양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2. 기후운동 참여의 영향요인 분석 결과
다음 <표 7>는 기후운동에 대한 영향 요인의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며,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를 대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단체 가입은 물질주의(-.613, P<.05), 과학기술 신뢰(.389, P<.05), 정책 리터러시(.737, P<.001)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해당 변수들의 한계 효과는 정책리터러시(8.1%), 물질주의(-6.8%), 과학기술 신뢰(4.3%)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에서는 정치성향(-.262, P<.05), 나이(-.016, P<.05), 400만원 미만(.634, P<.01)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청원서 서명은 정책 리터러시(.909, P<.001), 지각된 위험(.253,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해당 변수들의 한계 효과는 정책리터러시(19.1%), 지각된 위험(5.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단체에 기부는 물질주의(-.495, P<.05), 정책리터러시(.665, P<.0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해당 변수들의 한계 효과는 정책리터러시(10.8%), 물질주의(-8%)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에서는 나이(-.015, P<.05)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넷째,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집회/시위 참가에는 물질주의(-.963, P<.01), 정책리터러시(.629, P<.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해당 변수들의 한계 효과는 물질주의(-8.6%), 정책 리터러시(5.6%)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에서는 나이(-.024, P<.01)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3. 분석 결과의 논의 및 가설검정 결과
기후 운동에 영향요인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는 청원서 서명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기후운동 참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탈물질주의는 기후운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일반적으로 탈물질주의자는 환경 보호 등 친환경적인 행태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김서용・김선희, 2016), 본 연구에서는 탈물질주의자와 기후운동 참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살펴볼 수 없다.
현재 탈물질주의와 기후 운동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지만, 탈물질주의와 사회운동(정치항의경향, 시위참여)의 관련성을 분석한 류태건・차재권(2021),2) 도묘연(2022)의 연구결과에서는 탈물질주의가 사회운동(정치항의 경향) 및 시위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묘연(2002: 64)은 “물질 및 탈물질주의 가치가 직접적으로 시위참여를 추동하지 않으며, 평상시 이념과 태도 및 정치참여 방식과 결부되어 직접적으로 구체화 될 수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 또한 기후운동 참여에는 물질주의 또는 탈물질주의와 같은 가치뿐만 아니라, 다면적인 이념과 태도들이 혼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정치성향,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 지각 등의 변수에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면적인 속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전문가의 역할을 강조하여, 시민을 타자화 할 것으로 보았다. 즉, 기후변화 문제 해결은 전문가의 영역으로 간주함으로써 시민의 기후운동 참여가 저조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는 단체가입을 제외한 전반적인 기후운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서용・김선희(2016: 19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기술에 대한 낙관주의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의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응 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기술을 통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것이라는 신념을 강화시킬 뿐,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수준이 기후운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정책 리터러시는 모든 수준의 기후 운동(단체 가입, 청원서 서명, 단체 기부, 집회 및 시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시민일수록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점에서 김민정(2015)은 한국의 기후 운동은 변혁주의보다는 개혁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개혁주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법안 개정, 정책 제시등과 같은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정부 정책에 대한 리터러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비록, 해당 연구는 기후 운동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시민들 또한 기후 운동가와 동일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정책 만족도와 정부 신뢰는 기후운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정책 만족도와 정부 신뢰는 정책 과정에서 정부에 대한 기대와 그 결과를 의미한다. 즉,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대한 시민의 정책적 수요와 부합의 정도, 그리고 기후변화 해결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민들은 정부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들이 수요에 완벽히 부합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이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은 청원서 서명을 제외하고 전반적인 기후운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 지각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적으로 실천가능한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시민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을 지각하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을 실시할 뿐, 기후 운동과 같은 사회 운동의 참여 운동을 이끌어 내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기후 운동은 개인적인 실천임과 동시에 사회적 유대와 연대가 강조되기 때문에 위험성을 느끼더라도 이를 실천에 옮기는 과정에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최근 기후변화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Wicked-Problem)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 문제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인간생활 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수반되고 효과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수용성 확보가 요구된다.
그간 한국의 기후 운동을 분석한 선행연구들 주로 기후 운동의 역사와 조직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기후 운동에 참여하는 주체는 시민임과 동시에 시민의 입장에서 기후 운동에 왜 참여하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시민들의 특성에 초점을 둠과 동시에 가치 요인, 정책적 요인, 기후 관련 요인이 기후운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을 가질수록 기후 운동 참여에 소극적이었으며, 정책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시민일수록 기후 운동 참여에 적극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탈물질주의적인 가치관과 무관하다는점, 그리고 정부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나 추진되는 정책에 대한 불만족과도 무관하다는점, 나아가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 해결과도 관련이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기후 운동은 가치관이나,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족, 또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대한 시급성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정부가 기후변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적인 사고 또는 의견 표명을 하기 위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현대 숙의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책의 효과성을 담보할 뿐만 아니라, 절차적 기후정의를 실현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정부는 향후 기후변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한편, 선행 연구와 차별되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후 운동의 세밀한 특성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예컨대, 기후 운동은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거나, 정부의 정책에 대한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시민들은 기후 운동의 목적에 따라 참여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후 운동 유형(단체 가입, 청원서 서명, 단체 기부, 집회 및 시위)만을 분석하고 있어 기후 운동이 지향하는 목적 등을 파악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기후 운동의 유형과 함께 기후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과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강수택・박재흥, 2011,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와 탈물질주의,” 『Oughtopia』, 26(3), pp.5-38.
-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 정부성과, 그리고 삶의 질 간 영향관계 분석: 상향확산식 접근을 토대로,” 『한국행정학보』, 47(2), pp.1-30.
- 김민정, 2015, “한국 기후운동의 실상: 기후 활동가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연구』, 12(3), pp.123-151.
- 김서용・김선희, 2016, “기후변화 의식과 대응행동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54(1), pp.179-206.
- 김정숙・정다정, 2019,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치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1), pp.87-112.
- 김정숙・황창호, 2021, “행정이념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책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3(2), pp.283-307.
- 김지현・문명재, 2021, “정부신뢰와 정부역량인식이 4차 산업기술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4(3), pp.43-72.
- 김지혜, 2023, “기후의 물질성과 ‘우리’의 유동성: 924기후정의 행진과 류대(fluidarity)의 감각,” 『한국사회학연구 ECO』, 27(1), pp.53-96.
- 도묘연, 2022, “한국 시위참여의 결정요인: 전통적 요인과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간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15(1), pp.35-71.
- 류태건・차재권, 2021, “지난 40년간 한국의 정치항의의 사회적・집단적 변화추이와 그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55(5/6), pp.35-68.
- 문승민・최선미, 2018, “전자정부의 만족도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2(4), pp.119-149.
- 문승민, 202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기꺼이 세금을 납부할 것인가? - 정책 리터러시와 정책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4), pp.179-213.
- 박선아, 2017, “한국사회 커뮤니케이션 세계와 기후운동: 한국 사회에서 대중적 기후운동은 가능한가?,”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2, pp.512-525.
- 박이레・SONG CHENGYU・유나리, 2021, “기후 변화 위험 인식은 실제 대응 행동으로 이어지는가?: 정책 지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6(1), pp.75-102.
- 박재묵・이정림, 2010, “자원봉사자의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 – 태안지역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의 가치관 분석-,” 『환경사회학연구 ECO』, 14(2), pp.53-84.
- 박재흥・강수택, 2012,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코호트 분석,” 『한국사회학』, 46(4), pp.69-95.
- 박준・정동재, 2018, 「사회갈등지수와 갈등비용 추정」, 한국행정연구원. pp.1-289.
- 박희제・허주영, 2010, “친환경행동의 결정요인과 구조: 친환경행동의 다차원성과 환경의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18(1), pp.1-26.
- 박희제・허주영, 2012, “누가 기후변화회의론자인가?: 정보획득노력, 과학신뢰도, 정치성향이 기후변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환경사회학연구 ECO』, 16(1), pp.71-100.
- 손호중・채원호, 2005,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안군 원전수거물처리장 입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39(3), pp.87-113.
- 양해만・조영호, 2018,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탈물질주의: 왜 한국인들은 여전히 물질주의적인가?,“ 『한국정치학회보』, 52(1), pp.75-100.
- 유나리・문승민, 202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증세 태도의 결정요인: 정책만족도와 정부신뢰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30(2), pp.193-217.
- 유나리・문승민, 202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증세 태도의 결정요인: 정책만족도와 정부신뢰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0(2), pp.193-217.
- 윤영석・윤지웅, 2018, “기후변화 정책 리터러시(policy literacy) 영향 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44(3), pp.139-160.
- 윤순진, 2008, “기후불의와 신환경제국주의: 기후담론과 탄소시장의 해부를 중심으로,” 『환경정책』, 16(1), pp.135-167.
- 이슬기・이혁규・유나리, 2021, “리스크 커뮤니케이션과 정부신뢰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전자정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4(4), pp.271-305.
- 임도빈・정현정・강은영, 2012,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9(2), pp.1-29.
- 잉글하트, 로날드(정성호 역), 1980, 『조용한 혁명(The Silent Revolution: Changing Values and the Political Styles among Weatern Republics』. 종로서적.
- 최민규, 2023, “기후운동의 세계화와 대중화: ‘미래를 위한 금요일’의 성장요인을 중심으로,” 『ECO』, 27(1), pp.7-51.
- 최민경・황희연・성순아・정진호, 2014, “주민자력형 쇠퇴주거 재생사업에서 협력적 거버넌스가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pp.207-228.
- 한상운・조공장・김도균・진대용・정행운・강선우・김민정・반영운・신승철・정주철・한재각・홍덕화・황인철, 2019,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 연구(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1-183.
- 한국환경연구원. 「2022 국민환경의식조사」.
- 황창호・김영주・문명재, 2015, “행정가치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4), pp.123-150.
- Fishkin, J. S., 1991, Democracy a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democratic reform. Yale University Press.
- Global Carbon Project, 2021, Supplemental data of Global Carbon Budget 2021 (Version 1.0) [Data set]. Global Carbon Project. [https://doi.org/10.18160/gcp-2021]
- Habermas, J., 199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 Hetherington, M. J., 1998, “The Political Relevance of Political Trust,”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2(4), pp.791-808. [https://doi.org/10.2307/2586304]
- Hmielowski, J. D., L. Feldman, T. A. Myers, A. Leiserowitz, and E. Maibach, 2014, “An attack on science? Media use, trust in scientists, and perceptions of global warming,”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23(7), pp.866-883. [https://doi.org/10.1177/0963662513480091]
- Inglehart, R., 1971, “The silent revolution in Europe: Intergenerational change in post-industrial societi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5(4), pp.991-1017. [https://doi.org/10.2307/1953494]
- O'Connor, R. E., R. J., Bard, and A. Fisher, 1999, “Risk perceptions, general environmental beliefs, and willingness to address climate change,” Risk analysis, 19(3), 461-471. [https://doi.org/10.1111/j.1539-6924.1999.tb00421.x]
- Rochon, T. R, and D. A, Mazmanian, 1993. “Social movements and the policy proces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28(1), pp.75-87. [https://doi.org/10.1177/0002716293528001006]
문승민: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세명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과 녹색 ODA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며, 주요 연구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기꺼이 세금을 납부할 것인가? - 정책리터러시와 정책만족도를 중심으로」, 「녹색 ODA 배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ECD DAC 공여국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sm_moon@semyu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