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 Article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 Vol. 29, No. 2, pp.99-128
ISSN: 1598-835X (Print) 2714-060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20 Feb 2021 Revised 08 Mar 2021 Accepted 15 Mar 2021
DOI: https://doi.org/10.15301/jepa.2021.29.2.99

우리나라 해상・해안국립공원 미래 연구 방향 도출: 장기 연구 경향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천정윤** ; 이현규*** ; 김강선**** ; 정주영***** ; 김충기******
**주저자, 전북연구원 부연구위원
***공동저자, 축산환경관리원 사원
****공동저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위촉연구원
*****공동저자, 국립공원공단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자원보전과장
******교신저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Marine and Coastal National Parks in Kore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Long-Term Research Trends
Joungyoon Chun** ; Hyunkyu Lee*** ; GangSun Kim**** ; JuYoung Jung***** ; Choong-Ki Kim******

초록

해상・해안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이 높고 독특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에게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생태계 중심의 국립공원 연구 와 정책 추진은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마련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DB를 활용하여 지난 20년간(1999~2018년) 국내 연구자가 수행한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련 연구 경향 및 변화를 분석하고,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에 비해 국내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 수가 부족하며, 2010년대 이후로 연구수는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분야로는 생물학과 생태학 등 자연과학적 연구가, 생태계별로는 조간대 및 조하대 등 해양생태계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국가 예산에 의존한 해양조사, 사회경제적 이슈에 따른 연구 주제의 선택으로 추정된다. 연구 갭으로는 생물상과 종조성, 군집구조에 대한 연구에 비해 해상・해안국립공원에 특화된 연구,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영향, 타 분야와의 다학제적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 방향으로 1) 해양생태계 중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기초자료 확보, 2) 해양생태계 환경 변화 영향 평가, 3) 해양서식지 지도 구축, 4) 지표 기반의 적응형 관리체계 도입 연구, 5) 해양 보호구역 확대, 6)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사회경제적, 생태적 효과 분석, 7) 해상・해안국립공원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Abstract

The marine and coastal national parks (MNPs) of Korea are representative of Korea's marine ecosystem, have high biodiversity, unique natural scenery, and provide various ecosystem services to the public. However, due to the national park research and policies focusing on the conservation of terrestrial ecosystems, it has been challenging to conserve marine ecosystems and enact sustainable management policies for MNPs. This study analyzed long-term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MNPs, conducted by domestic researchers over the past 20 years (1999~2018),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database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Korean MNP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domestic MNP studie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research conducted overseas a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has been stagnant since the 2010s. Regarding academic fields,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in the natural sciences, such as biology and ecology, were lacking and that marine ecosystem studies, such as on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were insufficient for each ecosystem.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intermittent maritime surveys, which are dependent on national budgets and the selection of research topics based on socioeconomic issues. As for the research gap,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on MNPs was insufficient and that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limate change, on marine ecosystems, as well as multidisciplinary studies with other field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studies focusing on biota,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Therefore, we propose the following for future MNP research directions: 1) Securing basic data through long-term monitoring of marine ecosystems, 2) Evaluat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in marine ecosystems, 3) Establishing a map of marine habitats, 4) Researching indicator-based adaptive management systems, 5) Expanding marine protected areas, 6) Analyzing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effects of MNPs, 7) Researching specialized topics regarding MNP operation and management.

Keywords:

Marine National Park, Marine Ecosystem, Research Trend, Research Gap, Management Policy

키워드:

해상・해안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연구 경향, 연구 갭, 관리 정책

I. 서론

1968년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최초의 해상・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62년이 지났다. 그동안 해상・해안국립공원은 해양경관이라는 독특한 자연경관과 함께 육지-도서-연안-해양의 연속생태계(eco-continuum)를 보유한 곳으로써, 우리나라 해양생태계를 대표하는 해양보호구역으로 자리매김해왔다(국립공원공단, 2018a). 또한, 탐방과 생태체험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2005년 이후 주 5일제가 시행되고 국민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해상, 변산반도 4곳의 해상・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임준형 등, 2014; 국립공원공단, 2018a, 2018b). 이러한 추세는 해양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활동 증가로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생태적, 사회경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생태계를 지속가능하게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가 정책도 많이 발전해 왔다. 1980년 「자연공원법」이 제정되면서 국립공원의 보전관리체계가 정립된 이래로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인력, 예산, 제도 및 정책이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추진되어 왔다. 2005년 이후로는 육상생태계 중심으로 수행되던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서 해역을 다루는 조사가 추가되었고, 이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국립공원공단, 2018a). 보전정책 분야에서는 2006년에는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연구가 실시된 이래로(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2018년에는 ‘제2차 국립공원 해양생태 보전 종합계획’이 수립되어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관리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전의 가시적 성과를 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가들은 아직도 육상생태계 보전 중심의 국립공원 보전관리 정책으로 인해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보전 정책과 사업 추진이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다(안동만 등, 2010; 국립공원공단, 2018a). 국립공원공단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인터뷰 조사에서도 전담자 없이 육상과 해역의 조사・관리・보전 업무를 동시에 추진하는 현장 업무의 에로사항이 지적되고 있다(국립공원공단, 2018a). 해양생물과 해양생태계에 특화된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조사・연구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안동만 등, 2010).

또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환경적・사회적 상황 변화도 공원 관리를 어렵게 하는 도전 요인이 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과 해양생물 서식지 상실 등 해양 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고, 최근에는 증가하는 해양쓰레기와 미세플라스틱으로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2020년 9월 현재 국내 4곳의 해상・해안국립공원 해안선에 쌓여있는 해양쓰레기는 약 1,758톤에 이르며(국민일보, 2020), 이 중에는 외국 기인 쓰레기뿐만 아니라 양식업 등 어업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폐어구도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국민들의 여가에 대한 관심 증대로 갯바위 낚시, 다이빙, 해변 걷기, 캠핑 등을 즐기기 위해 해상・해안국립공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해상・해안국립공원에서 불법 쓰레기 투기 및 야영, 취사, 비법정 탐방로 이용 등의 위법행위 단속 건수는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국립공원공단, 2018a).

따라서 미래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를 지속가능하게 보전・관리하기 위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 어떤 연구와 정책이 필요한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학계에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해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부족했던 분야가 무엇이고, 미래에 해양생태계 보전・관리를 위해 추진해야 할 연구 분야가 무엇인지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체 국립공원의 보전전략 도출과 육상국립공원의 생태계 보전 및 관리, 탐방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연구는 육상에 비해 적게 추진되어 왔다(이희원・염성진, 2019). 실제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RISS(http://www.riss.kr/index.do)에서 ‘국립공원’을 검색하면 9,586건이 나오지만, ‘해상해안국립공원’은 276건으로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1) 또한 현재까지 어떤 연구들이 주로 추진되었는지, 전체적인 연구 경향(research trend)과 연구의 갭(research gap)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어떤 연구들이 추진되어 왔는지, 부족한 연구 분야는 무엇인지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해상・해안국립공원이 당면한 현재와 미래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경향 분석(research trend analysis)은 하나의 연구 분야에서 그동안 추진되어왔던 주요 연구 주제(이슈)들을 파악하고,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연구 분야 또는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천정윤 등, 20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경향 분석방법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최근 20년간 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과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 주제와 장기 경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써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주요 연구 성과가 무언인지, 부족했던 분야는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 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분야가 무엇인지 도출하고, 해양생태계와 해양국립공원 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논문 선정

본 연구에서는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경향 대상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분야의 학술연구 동향을 분석할 때 자주 활용되는 방법인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여 선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강은지 등, 2010; 천정윤 등, 2018; 이소연・유성은, 2019; 김영란 등, 2021). 과거에는 학술 분야의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당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을 심층 분석하는 방법이 자주 활용되어 왔다(천정윤 등, 2018).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최근 증가하는 다양한 신규 학술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반영하기 어려워 자칫 편향된 연구 경향 분석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반면에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매년 일정 기준을 충족한 학술지의 논문이 업데이트되므로, 연구자가 인지하지 못한 논문도 빠짐없이 검색할 수 있다(천정윤 등, 2018). 또한 관심 분야의 논문을 키워드 등을 통해 쉽게 검색하고, 초록과 원문까지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어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국내・외 학술DB 서비스인 Science On(https://scienceon.kisti.re.kr/), RISS(http://www.riss.kr)와 ScienceDirect(https://www.sciencedirect.com)를 이용하여 연구 경향 파악 대상 논문을 검색하고 선별하였다. 검색 대상 논문은 국내(science on과 RISS)의 경우, 연구자가 전문 학술지에 게재한 학술논문(article)과 석・박사학위 논문(thesis)으로 한정하였다. 국외(ScienceDirect)의 경우, 연구 논문(research article)과 리뷰 논문(review article)으로 한정하였다. 학회 발표자료(conference proceeding), 소식지(communications), 일반 잡지에 게재된 자료는 일련의 심사 과정(peer-review)을 거쳤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논문 검색 방법으로는 국립공원 해양생태계와 관련한 키워드를 활용하였다. 국내 학술DB에서는 “국립공원”, “해양”, “해양생태계”, “해양생물다양성”을 검색어로 활용하였다. 국외 학술DB에서는 “Marine National Park”을 검색한 후, 세부 검색으로 연구 대상지역이 한국(Korea)이면서 국립공원(National Park)을 포함하고, 저자가 한국인인 논문을 선별하였다. 두 번 이상 중복 계수된 논문과 해상・해안국립공원과 관련성이 없는 논문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가 199개(NDSL 및 RISS)로 시간적 범위는 1999~2018년이었다. 국외는 “Marine National Park”로 검색한 논문 18,542개 중에서 범위 내 세부 검색과정(korea, national park 키워드 포함)을 거쳐 국내 연구자가 한국의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선별한 결과 총 10개(ScienceDirect)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02~2018년이었다(<표 1>).

연구 경향 분석에 활용된 논문 건수

2. 연구경향 비교 방법

본 연구는 <그림 1>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해상・해안국립공원과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가 연구한 논문의 개수 및 시간적 변화를 전 세계 해양국립공원(marine national park) 논문의 개수 변화와 비교・분석하였다. 비교 대상으로 활용된 전 세계 해양국립공원 논문은 Science Direct에서 “Marine National Park”로 검색한 연구 논문(research article)과 리뷰 논문(review article)으로 총 18,542개였다. 시간적 범위는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간이며, 시간 흐름에 따른 점진적인 연구 논문의 개수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5년씩 4개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림 1>

연구 경향 분석 절차

둘째, 학문 분야(academic field)별로 시간 흐름에 따른 연구 경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학문 분야를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를 참고하여(한국학술진흥재단, 2020)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대상 학문 분야를 생물학(biology), 생태학(ecology), 화학(chemistry), 기술(engineering), 법(law), 정책(policy), 사회경제(socio-economy), 문화(culture)의 8가지로 분류하였다. 한편, 학문 분야 외에도 세부적인 연구 분야(research field)별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생태조사(survey), 모델링, 지도구축, 서식지, 보호지역, 보호종(멸종위기종, 보호대상해양생물 등), 정보화(DB/시스템), 정책, 관광, 지역경제, 수산업, 인식, 교육, 시민참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를 적용한 결과 특정 연구 분야에서 연구가 집중되고, 어떤 연구 분야에서는 연구가 적었다. 따라서 연구 분야별 구분 방식은 연구 경향 변화를 파악하는데 실익이 적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국립공원별 연구 논문 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는 4개의 해상・해안국립공원이 있다. 태안해안과 변산반도는 서해역, 다도해해상은 서남해역, 한려해상은 남해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각 공원이 위치한 해역의 생물다양성, 생태계 및 사회경제적 여건을 대변한다. 이는 각 국립공원별 연구 경향의 시간적, 내용적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대상 공원에 대한 연구 경향과 함께 주변 해역에 대한 연구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국립공원에 국한되지 않고 전 해상・해안국립공원을 포괄하는 연구도 추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해상・해안국립공원(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해상, 변산반도) 및 공통의 5가지로 구분하여 국립공원별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대상 생태계별 연구 논문 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해양생태계는 밀물과 썰물이 미치는 영향 범위를 기준으로 조상대(supralittoral), 조간대(intertidal), 조하대(subtidal)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서는 환경적 차이로 인해 타 영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생물상이 분포하고, 그에 따른 해양 활동이 차별화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해안국립공원의 공간적 영역을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었는지 분석하였다.


Ⅲ. 결과

1. 국내외 논문 수 변화

국내 및 국외의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련 논문 수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5년 단위로 봤을 때 국내와 국외 모두 논문 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2(a)>). 다만 논문의 증가 속도는 국외가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년 단위로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국외와 국내의 논문 수 변화에 차이가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국외는 1999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논문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2(b)>). 반면에 국내는 논문 수의 변화 방향이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2010년 이후로 연구 수는 정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9년부터 2005년까지는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냈으나,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 2010년부터 2018년까지는 연도별로 증가와 감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2>

국내외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련 연구논문수 비교: (a) 5년 단위 연구 수 변화, (b) 1년 단위 연구 수 변화

2. 연구 분야별 논문 수 변화

자연과학(화학, 생물학, 생태학), 사회과학(정책, 사회경제, 문화), 공학의 대분류로 구분한 결과는 <그림 3(a)>와 같았다. 자연과학은 초기(1999~2001년)에 비중이 52.3%로 높았으나 2002~2004년에는 21.4%로 감소하였고,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1년 이후로는 50% 이상의 연구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과학은 초기(1999~2001년)에 36.8%를 차지하였으나 2002~2007년에는 60%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2008년부터 감소하여 2014년 이후로는 40% 초반의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학 관련 연구는 1999~2004년까지 10~14%, 2014년 이후 약 8~11%의 비중을 차지한 것을 제외하면 2005~2013년까지는 0~4%로 연구 비중이 적었다.

<그림 3>

학문 분야별 논문 수 변화: (a)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분야별 논문 수 변화, (b) 화학, 생물학, 생태학, 정책, 사회경제, 문화, 공학 분야별 논문 수 변화

<그림 3(b)>는 개별 학문별로 시간 흐름에 따른 연구 비중을 나타낸다. 1999~2001년에는 생태학과 생물학 및 사회경제와 관련된 연구가 동등한 비율(26.3%)을 차지하였으며, 정책(10.5%)과 공학(10.5%)에 관련된 연구가 나머지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와 화학 관련 연구는 동 기간 동안 검색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2~2004년에는 사회경제와 관련된 연구가 42.9%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생태학(21.4%), 문화 및 공학(각각 14.3%), 정책(7.1%)의 순으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5~2007년에는 정책, 생물학, 사회경제 관련 연구가 각각 25% 비중을 차지했으며, 생태와 문화는 각각 12.5%를 차지하였다. 2008~2010년에는 생태와 사회경제가 각각 22.4%로 가장 높았으며, 생물학(20.4%), 문화(16.3%), 정책(14.3%), 공학(4.1%)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1~2013년에는 생물학(24.4%), 생태학(22.0%)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회경제(19.5%), 정책(17.1%), 문화(12.2%)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공학과 화학은 각각 2.4%로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2016년에는 생물학(23.9%)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회경제(17.4%), 생태학(15.2%), 정책(13.0%), 문화 및 공학이 각각 10.9%, 화학이 8.7%를 차지하였다. 2017~2018년에는 생물학이 33.3%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경제(25.0%), 정책(16.7%), 생태학(12.5%), 공학(8.3%), 화학(4.2%)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 국립공원별 논문 수 변화

총 209건의 연구 중에서 대상 국립공원을 판별할 수 있었던 논문은 173개(82.8%)였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국립공원별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분석 결과 초기(1999~2001년)에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대한 연구가 약 3/4(72.2%)에 달하였으나, 이후 시간이 흘러 2005~2013년에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대한 비중이 감소하고, 태안해안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대한 연구 비중이 과반을 넘게(51.4~72.7%)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2011~2016년엔 다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비중이 35%까지 높아졌으나 2017~2018년엔 9.5%까지 비중이 작아지고 다도해해상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비중이 61.9%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은 타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비해 연구 비중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2002~2004년에 20.0%의 연구 비중을 차지한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0~10% 안팎의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4>

대상 국립공원별 논문 수 변화

4. 대상 생태계별 논문 수 변화

총 209건의 연구 중 대상지역의 생태계를 구분할 수 있었던 연구는 108건(51.7%)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대상 생태계별 연구 비중 및 연구 수의 변화는 <그림 5>와 같았다. 대부분 조상대 육역에 대한 연구가 높은 비중(60~73%)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5(a)> 참조). 조하대에 관한 연구는 9~29%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변동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연구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그림 5(b)> 참조). 특히 2014~2018년에는 28.6%(12건)를 차지하여 조상대(61.9%, 26건)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연구가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대에 관한 연구는 2004~2008년(20%)을 제외하면 전 시기에 걸쳐 연구 비중이 10% 내외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4~2018년에는 7.1%로 작은 비중을 차지하여 연구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5(a)> 참조). 조상대에서 조하대에 이르는 전 영역을 다룬 연구는 2건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연구에서는 매우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5(b)> 참조).

<그림 5>

대상 생태계별 논문 수 변화: (a) 대상 생태계별 논문 비율(%), (b) 대상 생태계별 논문 수


Ⅳ. 고찰

1.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수 변화와 원인 분석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연구 수의 증가 및 감소 시점을 분석해 보면 국가 예산으로 실시하는 해양생태계 조사의 본격적인 시작 시점과 일치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표 2> 참조). 즉, 2005년부터 2010년간의 연구 증가 기간은 국립공원공단에서 수행했던 제반 조사들의 시작 시점에 해당한다. 먼저,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서 해역 부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2005년에 시작되었으며, 이후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2006년~), 국립공원 유・무인도서 조사(2006년~), 국립공원 핵심서식지 조사(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생태계 영향 장기 모니터링(2009년~)이 추가적으로 착수되었다(국립공원공단, 2018a). 반면에 2010년 이후의 증감이 반복된 시점에는 2015년에 시작된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를 제외하면 연차별로 지속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추가적인 조사 프로젝트가 시작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2> 참조).

국립공원공단 수행 해양생태계 조사

이러한 연구 수의 변화 경향은 대상 국립공원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각 국립공원의 연구 수의 증감은 약 10년을 주기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 4> 참조). 즉, 한려해상국립공원은 두 번의 피크시점(1999~2001년, 2017~2018년)이 있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은 2005~2013년에 비중이 높았다. 변산반도국립공원도 연구 수는 적지만 이러한 경향(2002~2004년 20%, 2008~2010년 10.5%, 2017~2018년 9.5%)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가 10년 주기로 실시되었던 점(이창래 등, 2012)과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연구 경향을 분석할 때 연구자들이 연구 대상 주제를 선정할 때 영향을 받는 요인 중 하나로 사회경제적 배경요인을 함께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강순주 등, 2012). 본 연구에서 학문 분야별 연구 비중의 변화는 이러한 사회여건의 변화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사회경제와 관련된 연구 비중이 높았던 2002~2007년은 1997년 말부터 이어진 경제위기에서 회복되고, 2002년 한일월드컵이 개최되었으며, 2003년부터 신행정수도 건설과 지역균형발전이 추진되었다. 또한 2004년에 주 5일제가 실시되었고, 2007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되었다. 따라서 여가에 대한 국민 관심이 증대되었고, 지역적으로 국내 관광이 활성화되었으며, 국가적으로 혁신도시 건설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심이 증가했다. 따라서 해당 시기에 ‘2002년에 국립공원 이용객의 관광행태 연구(임재덕, 2002)’, ‘고창 수산물 축제의 관광상품개발(전인순, 2002)’, ‘한려해상국립공원 보전의 경제적 가치(곽승준 등, 2002)’, ‘안면도 국제꽃박람회의 지역경제 효과(이만희, 2002)’, ‘목포권 해양스포츠관광 개발 연구(박철수, 2003)’, ‘해안형국립공원의 휴양경험 영향요소(유기준, 2006)’, ‘서남권지역 해양스포츠 특성화 전략(김옥주, 2008)’ 등 다양한 사회경제 관련 연구가 이뤄져 이러한 사회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국내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갭 분석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연구 수는 지난 20년간(1999~2018년) 213건으로, 단순 평균하면 연간 10여 건 정도이며, 개별 해상・해안국립공원당 평균 2.5건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교했을 때 매우 적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국내 논문을 검색했던 RISS에서 ‘국립공원’ 키워드로 단순 검색한 논문 수는 4,122건으로 ‘해양’ 키워드로 결과 내 검색을 실시한 85건의 48.5배에 달했다(2021년 2월 16일 검색).2) 이는 국외 논문의 검색 건수와 비교했을 때 더욱 분명하다. ScienceDirect에서 ‘national park’로 검색한 논문 수는 528,267건으로 ‘marine national park’의 49,761건의 10.6배에 불과한 것과 비교했을 때 매우 큰 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증가 추세인 국외 해양국립공원에 대한 연구 수(<그림 2(a); 그림 2(b)> 참조)와 비교한다면 이러한 차이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례로 세계적인 산호초 지대로 유명한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GBRMP)는 ScienceDirect에서 검색한 결과 2016년부터 최근까지 950개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2013년 이후 매년 약 160~230여 개의 논문이 새롭게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해상・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해양생태계보다는 육상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 1999년부터 2018년까지 대상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던 연구(n=108) 중에서 섬과 육역에 해당하는 조상대와 관련된 연구는 전체의 2/3 이상(72개)이었고, 내용적으로도 지질 및 지형, 식생 분포, 조류 서식현황 등 육상생태계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에 해양생태계에 해당하는 조간대와 조하대에 관한 연구는 연구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34개) 나타났다. 비록 최근 들어 조하대와 관련된 연구 수가 유동적이지만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간대와 관련된 연구는 감소하였다(<그림 5(b)> 참조). 특히 조간대와 관련된 연구는 총 11개로 관련 연구가 타 생태계에 대한 연구에 비해 부족한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연구, 그 중에서도 해양생태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원인 중 하나로 해양생태계 조사와 연구에 전담된 예산과 인력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비록 지난 2005년부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서 해양생태계에 대한 조사 및 연구과제들이 본격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했고, 그 결과 흰발농게(Uca lactea)와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파악하여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일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국립공원공단에서 해양생태분야의 전담 인력은 육상에 비해 적다(국립공원공단, 2018a). 직접적으로 해양생태계 조사 및 연구 분야에 할당된 예산도 적은 실정이다(국립공원공단, 2018a).

연구의 내용 측면에서 보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는 기초 연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연과학 분야 중 생물학과 생태학 분야는 <표 2>와 같이 정점 기반의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생물상(최윤 ・장준호, 2007; 최창근, 2008; 박찬선 등, 2009)과 종조성(노형수 등, 2009; 최윤・이흥헌, 2013; 안중관 등, 2017) 및 군집구조(윤건탁 등, 2009; 서인수 등, 2010; 이창래 등, 2012; 김호연 등, 2015; 오지철 등, 2015; 오지철, 2017)를 파악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보전에 관한 연구(이찬구, 2004; 장은미 등, 2008; 최종관, 2015; 김철도・안중관, 2015)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요인에 따른 중장기 해양생태계 영향,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다학제적 연구 등 응용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2007년 발생한 유류오염 사고인 허베이스피리트호에 따른 생태계 영향과 회복에 대한 연구(정윤환, 2012; 이원호 등, 2019)가 일부 수행되었다.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로는 최근에 플랑크톤, 해조류 군집 등을 통해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이창래 등, 2012, 2014; 김호연 등, 2015; 오지철 등, 2016), 우리나라 국립공원 해역 전체의 생태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해양생물의 분포와 서식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안동만 등, 2010; 이창래 등, 2012, 2014; 김호연 등, 2015).

이처럼 중장기 연구나 타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 등 응용적 성격의 연구가 부족한 원인 중 하나로 양질의 조사자료가 부족한 점을 들 수 있다. 특별히 동일 정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조사(모니터링)가 지속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것이 지적되고 있다(오지철, 201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타 기관에서 수행되는 조사와 연계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6~2014년, 415개 정점)와 연안습지 생태계조사(1999~2003년, 2006~2010년) 등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에 대한 기초조사를 수행해 왔다(해양수산부, 2007). 또한 2015년부터는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등 4개 생태계 조사(연안습지기초조사, 해양생태계기본조사, 해양생물다양성 조사, 해양보호구역 조사・관찰)를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로 통합하고, 조사주기를 2년으로 단축함으로써 시계열 자료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해양수산부, 2019).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잘 활용하면 해양생태계 장기 모니터링 및 환경 영향 분석 등의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와 협조하여 그동안 각 기관에서 축적한 조사 결과를 상호 공유하고,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공통 조사항목을 마련함으로써 조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연구성과를 제고하는 등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해상・해안국립공원이 해양생태계를 보전하는 대표적인 보호지역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해양생태계의 건강성 유지와 생태적 기능 및 서비스 보전, 신규 구역 지정 및 면적 확대, 해양생태계에 특화된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 및 사회경제, 문화 측면에서 수행된 연구들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논문의 50%에 가깝지만(209건 중 101건) 내용은 이희원・염성진(2019)이 지적한 바와 같이 공원 전반의 시설 및 탐방수요 관리, 지역경제 활성화, 제도개선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 및 운영관리와 관련된 연구는 총 31건의 정책 분야 연구 중 5건으로, 해안형 국립공원 보전체계 한・일 비교(Jo and Okano, 2003), 국립공원 생태계 자원 보전관리 방안(박민경, 2010), 해상국립공원 합리적 관리방안(송개일, 2010), 해양국립공원 보전시스템(최종관, 2015), 무인원격장비를 이용한 관리(이청재 등, 2016)에 불과하였다. 해양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장기적으로 어업생산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거론되는 금어구역(no take zone) 지정(McCook et al., 2010; Fraser et al., 2019; 국립공원공단, 2018a)은 다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현재 해상・해안국립공원의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관리체계 도입, 특별보호구역 지정 등 해양생태계 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용도구역의 조정과 관련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배타적 경제수역까지를 공간 범위로 하는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이 추진되고 있지만(해양수산부 해양공간통합관리정보시스템), 해상・해안국립공원에서 해양공간계획에 따른 해양생태계 보전 방향 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운영관리의 중요한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과 민간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호지역을 관리하고, 나아가 관리구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민들의 반발을 포함하여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수용성이 매우 중요하다(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안동만 등(2010)은 해상・해안국립공원 보전 및 관리정책 실행의 주요 쟁점으로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언급한 바 있다. 최근에는 우도, 추자도 등 기존의 해상도립공원을 포함한 제주국립공원의 확대 지정 추진이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지정이 지연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 논문 중에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주민 인식을 연구 주제로 다룬 논문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미래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 방향

본 연구에서는 그간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20여 년간의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경향 분석과 고찰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간대와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상과 군집구조에 대한 주기적인 중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환경과 해양생태계 분석의 기초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조사체계의 변경이 필요하다. 동일 정점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축적이 가능하도록 장기 모니터링 조사 정점을 구축하고, 조사 주기를 단축해야 한다. 조사 정점을 선택할 때에는 주변 생태계에 대한 대표성(representativeness)이 확보되어야 하며, 타 생태계와 비교할 수 있는 참조점(reference site)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점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산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해양생태 분야 연구 특성상 해양수산부에서 수행하는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와의 연계를 통해 공통 조사항목을 마련하고, 조사 결과를 공동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국가 예산에만 의존하는 현행 조사방식으로는 이러한 중장기적인 조사 및 자료 구축을 감당하기 어렵다. 민간 해양조사 전문 기업의 역할과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을 토대로 준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조사체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다양한 환경변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영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해야 한다. UN은 SDGs 14번으로 ‘해양 및 해양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달성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또한 CBD 등 국제사회는 인류가 생태계와 공존하고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중심의 사고, 즉 생태계 기반의 관리(Ecosystem Based Management; EBM)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경제 발전과 해양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른 해양생태계에 대한 인간 영향(Halpern et al., 2008; Chun et al., 2020), 특히 해상풍력, 연안 및 해양관광, 해양치유 등 다양한 해양활동 증가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선박통항정보(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트위터, 블로그 등의 소셜빅데이터, 신용카드 매출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해양 방문 특성과 공간적 분포 경향을 파악하고, 해상・해안국립공원 내부의 어떤 장소에 압력이 집중되는지 평가가 필요하다(Chun et al., 2020; 김윤정 등, 2020). 또한 공원별 해양생물상과 생태적 구조에 대한 기초자료와 인간의 해양활동을 대변하는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융합하여 국립공원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해양생물자원과 해양생태계를 지속가능하게 보전하면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은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해상・해안국립공원이 제공하는 공급, 조절, 문화, 지지 측면의 다양한 해양생태계서비스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적응형 관리(Adaptive Management)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셋째, 정밀한 해저지형과 해저기질을 바탕으로 한 해양 서식지 지도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고해상도로 해양환경과 해양생물종 분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특별히,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떠오른 드론, 인공위성, 무인기, IoT 기술을 활용한 무인 해양생태계 조사가 필요하다(이청재 등, 2016). 미국과 유럽, 이스라엘은 이카루스(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nimal Research Using Space; ICARUS)3) 팀을 통해 인공위성과 해양생물에 부착한 센서를 이용, 해양생물의 장거리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있다(Lohmann, 2018). 우리나라도 2016년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무인해양조사체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무인항공기(드론), 무인선박, 수중글라이더, 웨이브글라이더를 해양조사에 활용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수한 해양생태계를 보유한 해상・해안국립공원에도 무인해양생태계 조사를 통해 해양조사 인력과 시간, 예산을 절감하고 고품질의 해양조사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활용하여 호주, 영국 등 해양강국처럼 영해 및 EEZ에 이르는 해역의 조간대와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의 서식지 지도를 구축하고(Australian Government, 2021), 해양생태계 서식지 보전 정책 수립에 활용해야 한다.

넷째,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지표 기반의 적응형 관리체계 도입 연구가 필요하다. 호주 GBRMP에서는 생태계와 생물상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표체계를 통해 해양생태계의 상태(state)와 경향(trend)을 5년마다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추진 중인 생태계 관리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있다(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Authority, 2014, 2020). 또한 산호초와 어류 및 바다거북과 돌고래 등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호종에 대한 연구,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어업소득 증진을 위해 생태계 기반의 관리방법(ecosystem based management)인 적응형 관리(adaptive management) 체계 도입에 관한 연구(McCook et al., 2010; Day, 2008), no take zone의 지정 효과 등 행위 금지와 용도지구 조정과 관련한 연구(McCook et al., 2010; Fraser et al., 2019), 상업적 어업활동과 에너지 자원 및 관광 개발 등 다양한 해양이용행위간의 충돌을 조정하고, 높은 수준의 환경 보전과 다양한 범위의 인간 활동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해양공간계획에 관한 연구(Day, 2008; Douvere, 2008)들이 수행되고 있다.

다섯째, 미래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은 유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공간으로 조수와 해류 등의 흐름이 있는 열린 공간으로(안동만 등, 2010),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근해에서 원해에 이르는 연속된 공간을 포괄할 수 있도록 대규모 해역의 해양보호구역 지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은 연안 또는 근해에 지정되어있는 실정이다(최종관, 2015). 이러한 상황에서 CBD는 2020년 이후의 세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제시한 post 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를 통해 육지와 해역 면적의 50%를 공간계획을 통해 관리하고, 이 중 30%는 절대적 보전지역으로 관리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SCBD, 2020). 최근 IUCN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150,000 ㎢ 이상의 대규모 해양보호구역(large marine protected area)의 설계와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우수사례를 제시한 바 있다(Lewis et al., 2017). 우리나라에서도 육지에서 시작된 국토생태축과 비슷한 개념으로 해양생태축(marine ecological network)을 구축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더욱이 해상・해안국립공원은 육지-도서-연안-해양으로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 해양생태계로써 대규모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축의 핵심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다(국립공원공단, 2018a). 또한, 주변국의 해양영토 확장과 자원점유에 대응하고, 2019년 부산 및 경남지역부터 수립되고 있는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 및 용도구역 지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연안과 해양 서식지에 대한 해양보호구역 및 해상・해안국립공원 신규 지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2018년 현재 해상・해안국립공원 면적의 0.33%에 불과한 특별보호구역(국립공원공단, 2018a)을 확대 지정하기 위해서는 해조류 및 해초류 등이 서식하는 국립공원 핵심 서식지에 대한 조사 확대가 필요하다.

여섯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사회경제적, 생태적 효과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국립공원 지정의 핵심 이해관계자인 어민과 지역주민을 포함하여 잠재적인 보전 정책의 협력자가 될 수 있는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보전 가치를 이해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상・해안국립공원을 지정한 후에 어떤 경제적 효과가 있었는지 과학적 조사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대게를 보호하기 위해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지정한 4년 후 대게 양이 10~42%까지 증가했으며(Yamasaki and Kuwahara, 1990; 안동만 등, 2010), 미국과 세인트루시아(St. Lucia)의 해양보호구역 인근에서도 어획량이 90%까지 증가했음이 보고된 바 있다(Robert et al., 2001; 안동만 등, 2010). 따라서 우리나라도 해상・해안국립공원 지정으로 주변지역의 어업생산 증진과 생태계 보전에 어떤 혜택이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일반인에게 해상・해안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생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해상・해안국립공원에 특화된 운영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해상・해안국립공원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해양공간과 해양생태계에 대한 보전관리 현황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실시된 기존의 해양생태계 조사 및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실제 해양생태계 관리체계 개선에 활용되고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인력 및 조직, 예산 분석, 국립공원공단 관계자 심층 인터뷰 등을 토대로 현행 관리체계의 적정성과 한계점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미래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환경적・사회경제적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경향을 모니터링하고,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운영・관리체계의 대응 방향을 해양생태계 보전 정책 측면과 국립공원의 운영관리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해 연구자가 쉽게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현재 육상생태계와 국립공원내 해역은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에서, 동・서・남해 전 해역은 해양수산부가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 해역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는 해양수산부와 국립공원 내에 한정된 해역을 촘촘하게 관리하는 국립공원공단의 조사 및 연구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해양생태계에 특화된 용도구역 지정과 행위제한 등 관리체계 수립, 어업소득과 생태관광 등 지역주민에 대한 직・간접적 경제효과 제고, 공원관리에 대한 이해관계자 참여, 신규 보호지역 지정면적 확대에도 어려움이 상존한다. 특별히 육상-도서-연안-해양으로 이어지는 연속생태계의 생태적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해상・해안국립공원에 특화된 보전전략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관계부처의 협력을 통해 해상・해안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 협의체 구성・운영, 해양생태계 조사 인력과 장비의 공동 활용, 조사 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연구자를 포함한 일반인에게 조사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의 해양보호구역이지만 기후변화와 탐방객 증가 등 환경적・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보전 위협에 직면한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해 국내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의 해상・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수가 부족하며, 2010년대 이후 연구수가 정체되고 있고, 환경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영향, 타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가 부족한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미래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방향 7가지와 연구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연구 경향의 시간적 변화와 그 원인을 국가 예산으로 수행되는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연구 주기와의 인과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투입 예산과 연구 개수 등의 정량적인 관계성을 분석하고 증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육상국립공원과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의 차별성을 분석하는 데엔 한계가 있었다. 해상・해안국립공원은 육지-도서-연안-해양으로 어어진 연속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양공간을 보유하고 있어 육상국립공원과 조사, 연구, 관리체계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육상국립공원 조사・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해상・해안국립공원 조사・연구가 가진 유사점과 차별성을 밝혀내진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리자에게 추가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개별 해상・해안국립공원별로 조사 및 연구에 투입된 예산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수의 증감과 투입 예산과의 관계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육상국립공원과 해상・해안국립공원 조사・연구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국립공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국립공원 경계 및 용도구역 설정 기준 도출,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사회경제적 편익 비교,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등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1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지능형 해양쓰레기 수거지원기술 개발, 과제번호 20200594). 본 논문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수행하였습니다(2021-019(R)).

Notes
1) 2021년 3월 16일 검색결과이며, 검색 건수는 학위논문, 국내학술논문, 단행본, 연구보고서를 포함한다.
2) 같은 날짜에 science on에서 검색한 결과는 각각 3,563건과 76건이었다.
3) 프린스턴대, 코펜하겐대, 예일대, 히브루대 과학자들이 모여 인공귀성을 통해 바다거북 등의 전 지구적 이동을 관측하는 단체로, 2018년 국제우주정거장에 모니터링 안테나를 장착하고, 수집된 자료를 무브뱅크(MoveBank)에 공개할 예정이다.

References

  • 강순주・김진영・함선익, 2012, “공동주택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시대적 경향분석과 사회적 배경 요인들과의 관계,” 『한국주거학회지』, 23(4), pp.19-31.
  • 강은지・조중현・김용근, 2010, “연구제목을 통해 살펴본 농촌관광 연구경향,” 『농어촌관광연구』, 17(3), pp.163-202.
  • 곽승준・유승훈・조승국, 2002, “한려해상국립공원 보존의 경제적 가치: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50(2), pp.85-104.
  • 국민일보, 2020.10.21., “총 1758t, 처리에만 3년… 쓰레기 몸살 앓은 해상국립공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61052&code=11131100, .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리역량 강화방안 연구』, 서울: 국립공원관리공단.
  • 국립공원공단, 2018a, 『제2차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전 종합계획(2019~2029) 수립 연구』, 원주: 국립공원공단.
  • 국립공원공단, 2018b, 『2018년 국립공원 기본통계』, 원주: 국립공원공단.
  • 김옥주, 2008, “서남권지역의 해양스포츠 특성화 전략,”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광주.
  • 김영란・김대건・김형준・조미형, 2021, “농촌관련 사회복지 연구의 경향과 쟁점 : 사회복지학분야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0, pp.73-99.
  • 김윤정・김충기・김강선, 2020,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환경영향평가』, 29(2), pp.122-131.
  • 김호연・김병국・김응권・김철도・정장방・이창래, 2015, “2014년 한려해상국립공원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국립공원연구지』, 6(2), pp.91-102.
  • 김철도・안중관, 2015, “중요 해양생물서식지(해초지) 보전을 위한 제안,” 『국립공원연구지』, 7(3), pp.161-168.
  • 노형수・육관수・황학빈・이태원, 2009, “태안 해빈 천해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화,”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14(3), pp.145-154.
  • 박민경, 2010, “한국 국립공원 생태계 자원 보전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 박찬선・이건웅・조용성・김광봉・오장근・황은경, 2009, “한국 남서해안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하계 해조상,” 『환경생물』, 27(3), pp.252-260.
  • 박철수, 2003, “목포권 해양스포츠관광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 서인수・최병미・윤재성・김대익・이종욱・황철희 등, 2010, “우이도 주변해역 조하대에서 춘계와 추계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환경생물』, 28(3), pp.133-142.
  • 송개일, 2010, “해상국립공원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관리실태를 통한 합리적 방안 도출,”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광주.
  • 안동만・허학영・이지영・윤민호・신민종・최종관, 2010, “해상・해안 국립공원 관리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1(1), pp.13-28.
  • 안중관・유경동・오지철・이재일・윤희동・김영환, 2017, “서해안 태안반도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수직분포,” 『한국수산과학회지』, 50(1), pp.55-64.
  • 오지철・안중관・김철도・정장방・최한길, 2015, “한국 남해안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계절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한국수산과학회지』, 48(5), pp.768-775.
  • 오지철・최한길・김철도・안중관, 2016, “해조류 군집지수에 기초한 해양국립공원의 생태학적 평가,” 『한국수산과학회지』, 49(3), pp.385-392.
  • 오지철, 2017, “해양국립공원의 동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국립공원연구지』, 8(1), pp.24-28.
  • 유기준, 2006, “해안형국립공원에서의 휴양경험의 영향요소와 휴양만족에 관한 연구 –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pp.20-28.
  • 윤건탁・서인수・김광봉・최병미・손민호, 2009, “한려해상국립공원 조하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환경생물』, 27(1), pp.124-133.
  • 이만희, 2002, “안면도국제꽃박람회가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전.
  • 이소연・유성은, 2019, “장애인 공간 관련 국내 선행연구 경향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8(3), pp.289-303.
  • 이원호・김형섭・조수근, 2019, “태안해안국립공원 인근의 허베이스피리트 사고를 포함한 유류유출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생태계 1. 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변동,” 『Ocean and Polar Research』, 41(1), pp.1-10.
  • 이찬구, 2004, “인천 연안 갯벌의 환경친화적 보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 이창래・김성용・이병관・노형수・정주학・송성준 등, 2012,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 및 여서도 해역의 해황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 『국립공원연구지』, 3(3), pp.64-74.
  • 이창래・정주학・김호연・김병국・정장방, 2014,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 『국립공원연구지』, 5(4), pp.123-129.
  • 이청재・이창래・김철도, 2016, “해상・해안국립공원관리를 위한 무인원격장비의 활성화 방안,” 『국립공원연구지』, 7(4), pp.203-210.
  • 이희원・염성진, 2019, “국립공원 기초통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관리운영개선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8(9), pp.751-763.
  • 임재덕, 2002, “국립공원 이용객의 관광행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울.
  • 임준형・이광배・모수원, 2014,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탐방행태,” 『한국도서연구』, 26(2), pp.131-143.
  • 장은미・박경・채희영, 2008, “GIS기법을 이용한 다도해국립공원의 수달 서식가능지 분석과 지역개발 정책에 관하여,” 『한국GIS학회지』, 16(3), pp.343-357.
  • 전인순, 2002, “수산물 축제의 관광상품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고창수산물 축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경기.
  • 정윤환, 2012, “유류오염 이후 태안 연안 암반조간대 생태계 변화 및 회복 양상,”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서울.
  • 천정윤・강보식・김충기, 2018, “국내외 해양 기름유출 연구 비교: 심층 문헌조사를 통한 장기 경향 분석,”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지』, 21(1), pp.30-39.
  • 최윤・장준호, 2007, “서해 태안해안국립공원 조간대의 어류상,” 『환경생물』, 25(4), pp.297-302.
  • 최윤・이흥헌, 2013,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암반조간대 웅덩이의 어류 종조성과 수직분포,” 『한국어류학회지』, 25(4), pp.227-233.
  • 최종관, 2015, “외국 해양국립공원 보전시스템과 생태계서비스를 우리나라 해양국립공원 적용과 미래전략 과제 연구,” 『국립공원연구지』, 6(1), pp.40-60.
  • 최창근, 2008,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해조상,” 『한국수산학회지』, 41(5), pp.371-380.
  • 한국학술진흥재단, 2020, 『학술연구분야분류표』, 대전: 한국학술진흥재단.
  • 해양수산부, 2007,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 경기 과천: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부, 2019, 『제2차(2019~2028)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 세종: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부, 2019.12.16., “해수부, 충남 가로림만 해양보호구역 확대한다,” 보도자료.
  • Chun, J., C. K. Kim, G. S. Kim, J. Jeong, and W. K. Lee, 2020, “Social big data informs spatially explicit management options for national parks with high tourism pressures,” Tourism Management, 81, 104136. [https://doi.org/10.1016/j.tourman.2020.104136]
  • Day, J., 2008, “The need and practice of monitoring, evaluating and adapting marine planning and management-Lessons from the Great Barrier Reef,” Marine Policy, 32(5), pp.823-831. [https://doi.org/10.1016/j.marpol.2008.03.023]
  • Douvere, F., 2008, “The importance of marine spatial planning in advancing ecosystem-based sea use management,” Marine Policy, 32(5), pp.762-771. [https://doi.org/10.1016/j.marpol.2008.03.021]
  • Fraser, K. A., V. M. Adams, R. L. Pressey, and J. M. Pandolfi, 2019, “Impact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utcomes in marine protected areas: A case study of the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Biological Conservation, 238, 108185. [https://doi.org/10.1016/j.biocon.2019.07.030]
  •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Authority (GBRMPA), 2014, Great barrier reef outlook report 2014, Townsville: GBRMPA.
  • Halpern, B. S., S. Walbridge, K. A. Selkoe, C. V. Kappel, F. Micheli, and C. D'Agrosa et al., 2008, “A global map of human impact on marine ecosystems,” Science, 319, pp.948-952. [https://doi.org/10.1126/science.1149345]
  • Jo, T. D. and T. Okano, 2003,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on system of a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 of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aean-Haean National Park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2), pp.151-155. [https://doi.org/10.5322/JES.2003.12.2.151]
  • Lewis, N., J. C. Day, A. Wilhelm, D. Wagner, C. Gaymer, and J. Parks et al., 2017, Large-Scale marine protected areas: Guidelines for design and management,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26), Gland, Switzerland: IUCN. [https://doi.org/10.2305/IUCN.CH.2017.PAG.26.en]
  • Lohmann, K. J., 2018, “Animal migration research takes wing,” Current Biology, 28, R952–R1008. [https://doi.org/10.1016/j.cub.2018.08.016]
  • McCook, L. J., T. Ayling, M. Cappo, J. H. Choat, R. D. Evans, and D. M. De Freitas et al., 2010, “Adaptive management of the Great Barrier Reef: A globally significant demonstration of the benefits of networks of marine reserves,”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e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 pp.18278-18285. [https://doi.org/10.1073/pnas.0909335107]
  • Roberts, C. M., J. S. Bohnsack, F. Gell, J. P. Hawkins, and R. Goodridge, 2001, “Effects of marine reserves on adjacent fisheries,” Science, 294, pp.1920-1923. [https://doi.org/10.1126/science.294.5548.1920]
  •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2020, Update of the zero draft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Montreal: CBD, https://www.cbd.int/conferences/post2020/post2020-prep-01/documents, .
  • Yamasaki, A. and A. Kuwahara, 1990, “Preserved area to effect recovery of overfished Zuwai crab stocks off Kyoto Prefectur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King and Tanner Crabs, Alaska Sea Grant College Program, University of Alaska, pp.575-585.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index.do, , [2021.3.22]
  • 해양수산부 해양공간통합관리정보시스템, https://www.msp.go.kr, , [2021.3.22]
  • Australian Government, 2021, “Seamap Australia - A national seafloor habitat classification scheme,” https://data.gov.au/dataset/ds-aodn-4739e4b0-4dba-4ec5-b658-02c09f27ab9a/details?q=, , [2021.5.17]
  •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Authority, 2020, “Our programs and projects,” http://www.gbrmpa.gov.au/our-work/our-programs-and-projects, , [2021.5.17]
  • Science On, https://scienceon.kisti.re.kr/, [2021.5.17]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 , [2021.5.17]

천정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전북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인간이 환경에 주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합하여 분석하고, 산림, 도시, 농촌, 해양 등 다양한 공간단위에서 국가와 지역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jychun@jthink.kr).

이현규: 현재 축산환경관리원 자원이용부 사원으로 재직 중이며, 토양오염 및 축산환경 정책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leehg@ilem.or.kr).

김강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근무 중이다. 생태계단위나 경관단위의 생태계를 공간정보로 설명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최근에는 SNS 데이터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해양생태관광을 표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gskim@kei.re.kr).

정주영: 현재 국립공원공단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 자원보전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화학해양학 및 보호구역관리 전문가로서 해양환경정책과 해양환경보전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aqua02@knps.or.kr).

김충기: 미국 South Alabama 대학교에서 해양과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환경연구실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생태계서비스와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육상과 해양 환경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ckkim@kei.re.kr).

<그림 1>

<그림 1>
연구 경향 분석 절차

<그림 2>

<그림 2>
국내외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련 연구논문수 비교: (a) 5년 단위 연구 수 변화, (b) 1년 단위 연구 수 변화

<그림 3>

<그림 3>
학문 분야별 논문 수 변화: (a)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분야별 논문 수 변화, (b) 화학, 생물학, 생태학, 정책, 사회경제, 문화, 공학 분야별 논문 수 변화

<그림 4>

<그림 4>
대상 국립공원별 논문 수 변화

<그림 5>

<그림 5>
대상 생태계별 논문 수 변화: (a) 대상 생태계별 논문 비율(%), (b) 대상 생태계별 논문 수

<표 1>

연구 경향 분석에 활용된 논문 건수

구분 기간 검색논문(건) 선별논문(건) 비율(%)
국내외 연구자 논문(ScienceDirect) 1999~2018 26,964 18,542 69
국내 연구자 논문 국내학술지 논문(NDSL, RISS) 1999~2018 199 199 100
국제학술지 논문(ScienceDirect) 2002~2018 14 10 71
소계 - 213 209 98

<표 2>

국립공원공단 수행 해양생태계 조사

구분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국립공원 유・무인도서 조사 국립공원 핵심서식지 조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생태계 영향 장기 모니터링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 조사
자료: 국립공원공단, 2018a
목적 자원조사 공원 현안 반영한 자체 자원 모니터링 도서지역 환경/서식현황조사 국제보호종 서식 거점도서 연안 서식지 조사 공원 내 유류 유출 영향 조사 해양생태계 해양 환경/생물 조사
조사 기간 2005~현재(육상: 1995~현재) 2006~현재(매년) 2006~현재(매년) 2007~현재(매년) 2009~현재(매년) 2015~현재(매년)
조사 항목 저서생태(절지/연체/환형/해조류/해초류) 저서생태(연성기질 저서무척추동물, 경성기질 저서무척추동물, 해조류, 해초류) 저서생태(조하대 연성・경성/조간대 연성・경성/해조류/해초류) 저서생태(절지/연체/환형/해면・자포/해조류) 저서생태(조하대연성/조하대경성/조간대연성/조간대경성/해조류/잘피류) 저서생태(절지/연체/환형/해조류/해초류)
조사 방식 정점 정점 정점 정점 정점 정점 조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