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영어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시민성을 반영한 중학교 영어과 환경 교육 프로그램에 개발에 있다. 연구 결과, 영어과 공동체 역량을 구체화하였고 영어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 요소들은 생태시민성의 특징인 비 영역성, 덕성, 책임과 관계성, 참여, 지속가능성의 내용 요소와 의미 있게 연결되어 생태시민성 교육이 영어과 교육에서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과 생태시민성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비 영역성, 덕성, 책임과 관계성, 참여, 지속가능성을 고르게 반영해야 하되 특히 관계성, 참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소를 반영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영어과의 교수 내용과 생태시민성 교육의 유의미한 연결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수동태, 현재 완료, 조동사가 생태시민성 교육에서 유의미성을 가질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EE)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um for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In general, the English curriculum is focused on developing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to foster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ies;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o les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decentralized environmental education situation in Korea, it is meaningful to study applicability of EE to various subjects. Additionally, there needs to be more emphasis on other competences other tha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nglish curriculum. Specifically, ecological citizenship, which encourages individuals,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as citizens of the world to consider environment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s consistent with community competence in English curriculum. As a result of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study, an ecological citizenship program applicable to the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um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is aimed at 8th graders and is composed of six steps reflecting five dimensions of ecological citizenship. Conclusively, this program expands competences while meaningfully connecting the goals of English education with those in environmental education.
Keywords:
Environmental Education(EE), Ecological Citizenship, English Curriculum키워드:
환경교육, 생태시민, 생태시민성 교육, 영어과 환경교육I. 서론
우리나라 중학교에서는 환경을 선택 교과이자 동시에 범교과 주제로서 다루는 절충식 방법을 채택(Lee and Kim, 2017)하고 있다. 환경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지만 교육 과정상 필수 과목이 아닌 선택 과목으로 환경 과목을 선택하는 학교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환경부, 2018)이다. 기존 교과목으로 편입된 형태로의 환경 교육은 우리나라 중등 학교의 꽉 찬 환경 교육을 받을 기회를 보다 많은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 보아야 하지만(김찬국, 2019) 환경 교육이 필요한 수준으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중학교 교육과정의 필수 과목 중 하나인 영어 교과에서의 환경 교육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다 하겠다.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 교육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로 다양한 교과에서의 환경 교육 적용 방안을 제안하면서 영어 교과를 다양한 내용을 다룰 수 있는 교과라는 점을 언급한 정도에 머물고 있으며 교육 방식 또한 특정 어휘를 학습하는 방식을 제안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소영(1999)은 영어과에서의 환경 교육은 언어 기능과 의사소통 기능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임을 제안하였다. 이는 영어과 교육과정이 주로 의사소통수단으로써의 목표에 초점을 두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적 성취 기준을 제시하여 교육 내용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연결 고리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체계적인 환경 교육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첫째, 분산적 환경 교육 상황에서 영어과 교육과정의 활용도 측면이다. 영어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측면에서 볼 때, 타 교과에 비해 융통성과 환경 교육적 활용도가 높은 교과목이다. 영어 교과는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과 동시에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 내용적 측면에서 교사가 자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내용의 허용 범위가 넓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언어는 생각을 지배하고 전달하는 의사소통 수단이다(최숙희, 2007). 세계어 혹은 지구어(English as a global language)인 영어(Graddol, 2006)의 위상은 영어 교육이 기대하는 학습자의 태도나 가치관의 변화가 개별국가의 범위를 넘어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로 확장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세계시민양성이라는 영어과의 목표를 단순한 문화 이해 교육의 측면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새롭게 요구되는 시민성의 개념에 맞게 재정립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시민을 길러내는 목표로 재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의식 함양이라는 영어과의 교육 목표와 시민성 함양이라는 환경 교육적 목표의 지향점이 같음을 전제하고 전 지구적으로 심화하고 있는 사회 생태적 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학생들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성향 및 자질로서 생태시민성의 개념을 상정하였다.
생태 시민성은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지구 차원의 생태 문제는 우리 사회를 포함한 지구촌 전체의 생활 양식과 사회 경제적 구조의 산물(박순열, 2010a)이며 따라서 이를 야기한 사회 구조적인 측면과 그에 따른 정의, 분배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추고(김찬국, 2013) 지역과 국가를 초월할 수 있는 새로운 시민성으로 대두된 개념이다.
국내 생태시민성 연구는 크게 생태시민성의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와 생태시민성의 적용 가능성 연구, 생태시민성의 교육적 적용연구로 나누어진다.
생태시민성의 개념 정립과 함의 연구(박순열, 2010a; 김소영・남상준, 2012)는 새로운 시민성에 대한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 생태시민성의 개념이 나왔으며 생태시민성이 기존의 시민성과 구분되는 비 영역성, 책임과 의무의 강조, 사적 영역에 대한 강조와 같은 특징이 있음을 보여준다. 기존의 개념들을 생태시민성의 관점에서 탐색한 연구(박순열, 2010b; 김희경, 2012; 김찬국, 2013)는 생태시민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주제들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생태 발자국이나 기후 변화와 같은 주제들이 생태시민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태시민성 함양 환경교육 프로그램 연구(김병연, 2012; 채유정, 2018)에서는 생태시민성 함양 교육 프로그램이 반성적 사고, 정의, 실천의 덕성을 키워 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생태시민성의 교육적 적용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생태시민성 함양 교육 연구는 주로 사회과 교육에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태시민성이 영어과 교육과정에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논의해 보고 생태시민성을 반영한 영어과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 연구는 영어과 교육과정 안에서의 환경 교육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데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영어 교과에서도 다뤄질 수 있는 생태시민성의 내용 요소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생태시민성의 교육적 적용에 대한 논의를 확대할 뿐 아니라 범교과 주제로서의 환경 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다양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Ⅱ.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영어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첫째, 공동체 역량을 구체화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안된 소재들을 바탕으로 영어과 공동체 역량을 구체화하였다. 영어과 교육 과정에서 제시된 소재들의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총 4명의 전문가(경력 10년 이상의 중등 영어과 교사 4인)를 통한 내용 타당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할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하였다. 각 소재들을 구체화하기 위해 각 소재들이 사용된 영어 교과서 내 활동들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가정 생활과 의식주에 관한 내용’은 “라디오를 통해 가족이나 친구에게 사과하고 싶은 일을 떠올려 봅시다”와 같은 실제 교과서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어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영어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영어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2015 개정 중 2 영어 교과서 13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단원은 환경적 주제를 다루고 있는 단원으로 제한하였다. 분석은 김희경・신지혜(2012)의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틀은 크게 5가지 내용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 영토성과 관계성, 시민들이 그들의 의무를 다하게 하는 제 1덕성인 정의와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배려와 공감의 덕성이 포함되었다. 관계성을 바탕으로 느끼는 책임감과 참여, 생태시민성의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반 개념(김희경, 2012)으로서 지속가능성을 추가하였다.
분석의 과정은 연구자 2인이 교과서별 8개 단원의 내용을 반복, 교차 검토하는 것으로 진행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환경적 주제를 다루고 있는 7 종의 교과서를 추출하였다. 분석은 각 단원의 내용 중 분석 틀의 요소를 충족시켰는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단원별로 교과서를 검토하면서 분석틀의 내용 중 어떤 부분을 충족시키는지 기록한 1차 분석표를 작성하였다. 1차 분석에서는 분석 틀에 있는 요소가 교과서 내용에 언급되면 최소한의 요건을 충족시켰다고 평가하였다. 이후 교과서 내용을 보다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그 내용이 심도 있게 다뤄졌는지, 생태시민성의 기본 개념이 충실히 포함됐는지를 평가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의 생태 시민성 함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생태시민성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충북에 소재한 중학교 중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Karatekin and Uysal(2018)의 연구에서 개발된 생태시민성 측정 도구를 우리말로 번안한 후 박우용(2020)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자세한 설문의 문항과 문항별로 측정 대상이 되는 자질을 구분하여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넷째, 영어과 환경 교육 교재를 선정하고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The Great Kapok Tree”라는 스토리북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마존 우림이라는 주제가 생태시민성의 함양하기에 적절한 주제이며 스토리북에 제시된 영어 수준이 중학생 수준의 학습자가 학습하기에 적절하였기 때문이다. 해당 책을 교재로 선정하고 그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송가영 등(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 개발 도구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영어과 교육 교재로서 선정기준을 크게 두 가지 영역, 즉 생태시민성 교육 교재로서 선정기준과 영어 교재로서의 선정기준으로 구분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영어과 공동체 역량에서의 생태시민성 함의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소재들을 중심으로 영어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 요소들을 <표 4>와 같이 구체화할 할 수 있었다.
생태시민성의 내용 요소가 이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에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생태시민성이 미치는 영역은 특정 지역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 인간, 비인간 생물종, 미래 세대까지를 포함하는 공간적, 시간적으로 확장된 영역이다. 이 공간에서 각각의 주체들은 상호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글로벌 시민 의식이나 세계 시민 의식 함양이라는 영어과 교육 목표가 보여주듯 영어과 교육에서 언급되는 ‘공동체’는 이미 내가 사는 지역과 국가의 범위를 초월한다.
지역・국가・세계로 정의되는 ‘공동체’가 생태시민성이 관여하는 공간과 시간의 범위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영어과 교육 내용의 소재로 환경 문제나 기후 변화의 문제가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환경 문제가 더 이상 생태계 보호 조치만으로 완화될 수 없고 기후 변화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단일한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없고 우리의 일상과 분리될 수 없는 문제라는 점은 ‘공동체’의 개념이 생태 시민성이 관여하는 범위로 확장될 수 밖에 없음을 보여 준다.
기본권(권리와 책임, 인간의 존엄성, 인권)과 민주주의 가치(민주주의, 정의, 공정성, 평등, 법의 지배, 문화 다양성)에 대한 지식과 탐구는 생태시민성의 덕성의 측면과 맞닿아 있다. 생태시민성의 덕성은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타자에 대한 ‘배려와 돌봄’을 추구한다. 생태적 덕성은 온전한 인간성의 실현(박순열, 2010a)이다. 빙하의 감소로 인한 북극곰의 죽음, 개발로 인한 아마존 생태계 파괴나 원주민들의 삶 등에 문제 의식을 갖는 것, 즉 생태시민성이 집중하는 사회 구조적 모순에 대한 관심과 성찰은 단지 그것이 그 자체로 옳은 일인가(박순열, 2010a)하는 내재적 가치를 바탕으로 ‘정의’롭고 ‘공정’한 일인가 묻는다는 점에서 기본권과 민주주의 가치를 알고 탐구하는 것과 궤를 같이 할 수 있다.
생태시민이 갖는 책임은 고정관념과 편견에 대한 도전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생태시민성이 요구하는 책임은 ‘너’의 문제가 ‘나’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 인식이 ‘너’의 문제에 대한 ‘나’의 책임으로 이어진 결과이다. 이는 기존의 시민성이 요구하는 모두가 똑같이 나눠 갖는 책임이 아니라 현재의 환경 위기의 원인 행위자로서 피해자에게 갖는 부채의식에서 비롯된 책임인 것이다. 여기에서의 고정관념과 편견은 ‘너’와 ‘나’의 관련성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너’라는 대상이 포괄하는 범위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나’의 책임의 범위에 관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생태시민은 이러한 ‘관계적’ 지식을 바탕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기존의 편견과 관점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견지함으로써 현재의 문제 상황을 성찰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고정관념, 편견에 대한 도전, 비판적 사고, 성찰의 요소들은 책임과 관계성의 영역과 의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참여’는 생태시민성 이전의 시민성의 개념에서도 논의되는 특징이지만 생태시민성이 요구하는 ‘참여’는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라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참여에 대한 지식과 참여 의지, 정치 과정 및 국가 기관에 대한 지식, 평화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건설적인 방식으로 불만을 표현하는 능력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에 대한 방법적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참여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임을 확인함(자기 효능감, 책임감)으로써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생태시민성이 공적 영역 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의 행동을 중요시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이 연구가 정의하는 바에 따르면 지속가능성은 환경과 상호의존적인 사회, 경제의 관계를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과 사회를 위해 개인의 행동을 조절할 줄 아는 능력이다. 지속가능성은 관심과 연대를 전제로 한다.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에게 있어서 환경에의 의미를 재정립할 필요에서 시작된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고려한다면 관심과 연대는 지속가능성이 전제하는 가치라고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한 환경과 사회를 지향한다는 것은 기존의 소비방식, 환경을 바라보는 태도, 가치 지향에 있어서의 변화를 전제로 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개개인도 자기 결정과 자기 통제를 통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적응할 것을 요구한다.
영어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 요소를 추출하고 생태시민성이 각각의 요소들에 함의하는 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그림 1>).
첫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소재들이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영어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 요소들은 생태시민성의 특징인 비 영역성, 덕성, 책임과 관계성, 참여, 지속 가능성의 내용 요소와 의미 있게 연결되어 생태시민성 교육이 영어과 교육에서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영어과 생태시민성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 추출
첫째, 13종의 교과서 중 환경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7종에 불과했다. 환경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7종의 교과서에 나오는 주제들은 주로 쓰레기 줄이기, 플라스틱 재활용 등에 관한 내용이었다.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과서가 참여와 관련된 내용 요소를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의 형태가 플라스틱을 줄이고 자원 재활용하기, 나무 심기와 같은 일상적인 자연 보호 활동에 집중되어 있고 정치적 참여나 캠페인 활동과 같은 적극적인 형태의 참여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다. 제도와 규범의 변화를 통해 생태 사회를 만드는 생태시민성의 개념을 고려해 볼 때, 정치 및 사회 참여 기능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배려와 공감의 내용 요소 또한 개도국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나 동정의 내용으로 제시되었을 뿐, 비인간 생물종, 미래 세대에 대한 고려는 언급되지 않았다.
셋째, 책임과 관계성 부분과 관련해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행동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 다양한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 교과서의 분석 결과, 언어 기능 향상을 주 목표로 하는 교과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지만 다뤄지는 소재들, 특히 환경과 관련된 소재들이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김미진(2019)의 연구에서 논의된 바를 상기시킨다. 김미진(2019)은 도구 교과인 영어과는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에서 나아가 보다 고차원적인 역량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특히나 성취 기준에 가장 적게 반영되어 있는 공동체 역량을 더 확대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생태시민성의 내용 요소는 단순한 지식 전달, 의사소통 도구 이상의 깊이를 갖는 주제이며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살아갈 학습자들이 함양해야 할 공동체 역량이 될 수 있다.
영어과 교과서 분석은 생태시민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내용 요소를 모두 적절히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하는 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수 있었다.
첫째, 관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사는 지역이나 그 외 지역에서 일어나는 환경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나 환경 문제로 인한 피해를 직접적으로 겪지 않고 자신의 일상과는 동떨어진 문제로 인식하고 있기에 내가 사는 지역, 내가 사는 나라의 일이 아닌 문제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관계성은 사적 영역에서의 행동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김찬국, 2016)는 점에서 볼 때 나와 직접적 관계를 맺고 있지 않는 누군가에게의 영향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생태시민성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환경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왜 생기게 되었는지와 같은 지식적 측면은 이미 사회, 과학 교과 등 다른 교과들에서 어느 정도 다루어져 왔다. 생태시민은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환경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적 측면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 가능성이 가진 가치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허수미(2016)는 지속 가능성의 개념은 그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하기보다 그 안에 담긴 가치 원리와 사고의 맥락을 가치 판단의 근거로 활용하게 할 때 교육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지속 가능성이 가진 원칙은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제되어야 할 생태시민성 실현의 내재적 동력이 될 수 있다.
영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은 한 언어의 전체적인 체계와 구조를 가르친다. 이러한 점에서 문법 지식은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지식이다. 문법 학습은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이기도 한데 이러한 이유로 학습자가 언어 그 자체를 유의미하게 경험하는 일은 언어 교수에서 매우 중요하다. 영어 교과의 주요한 영역인 문법 요소가 생태시민성과 의미적 관련성을 갖는다면 영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환경 교육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언어도 유의미하게 학습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2학년 영어 교육과정은 영어과의 핵심적인 문법이 많이 다뤄진다. 2015 개정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는 문법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동태, 현재 시제, 조동사의 의미 활용적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
첫째, 생태시민성이 주목하는 정의의 덕성은 환경 문제로 인한 피해가 저소득층이나 정치적 영향력이 미약한 집단에 전가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볼 줄 아는 안목(김소영・남상준, 2012)을 기르도록 요구한다. 사회 경제적 약자들이 불평등한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인식한다는 것은 영어에서 수동태를 사용할 때와 의미적 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 수동태 학습에 있어 ‘주어가 행위를 당하는 입장’이라는 개념을 학습자들이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개발의 주체이기보다는 개발로 인해 야기된 환경 문제들의 피험체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능동주어보다 수동주어를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 수동태를 사용하는 것과 의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둘째, 현재 완료는 과거부터 시작된 어떤 행위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문법 요소이다. 생태시민성은 현재의 위기를 초래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일뿐 아니라, 원인에 대한 성찰을 통해 가치관와 삶의 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요구한다. 특히 현재의 위기를 초래한 과거부터 계속되어온 모순적 상황을 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완료는 환경의 역사 속에서 과거부터 지금까지 존재해 왔던 착취와 부정의 상황을 진술할 때 유의미성을 가질 수 있는 문법 요소이다.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구조적 모순, 과거 행위의 결과로써의 현재의 문제를 진술하는 것은 생태시민성이 지향하는 성찰의 과정이며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필요한 과정인 것이다.
셋째, 미래의 가능한 행동을 제안하기 위해 사용되는 can, 결심을 나타내는 will, 의무를 나타내는 should의 사용이 생태시민성 요소와 의미 있게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생태시민성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참여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참여에 대한 지식을 알고 참여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는 일은 will과 should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으며 자신의 행동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 책임감은 can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조동사를 사용하여 자신의 태도를 진술하는 것은 유의미한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자의 참여 의지를 드러낼 수 있다.
3.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영어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영어과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이 중학생이라는 점, 궁극적으로 생태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는 점, 영어과 교육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연구 결과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과 학습자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 5>와 같이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 연구에서 선정한 주제는 아마존 우림 파괴이다. 아마존 유역의 열대 우림은 세계인이 숨 쉬는 산소의 주요한 공급원이다. 또한, 지구 전체 담수의 20%를 공급하는 원천이며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1960년대 이래로 벌목, 광산개발, 목축 등을 이유로 많은 산림이 불태워졌다. 해마다 건기가 되면 농경지와 목초지를 만들기 위해 대규모 방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환경 파괴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지역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The Great Kapok Tree’라는 이야기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모두 세 가지 단계, 6차시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아마존 우림 파괴와 관련된 사회, 환경, 경제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아마존 산림 파괴 문제와 내 생활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세 번째로는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책임 의식과 참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영어과 교육 목표는 각 단계별로 주어진 활동에 따라 기능적 목표와 함께 제시하였다.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분산적 환경 교육 상황에서 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환경 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세계시민의식 함양이라는 영어과의 교육 목표와 시민성 함양이라는 환경 교육적 목표의 지향점이 같다는 전제하에 전 지구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사회 생태 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학생들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성향 및 자질로서 생태시민성의 개념을 상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 시민성이 영어과 교육과정에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논의해 보고 생태시민성을 반영한 중학교 영어과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소재들을 통해 구체화한 영어과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들이 생태 시민성 내용 요소와 의미적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둘째, 영어과 생태시민성 교육 프로그램은 참여, 관계성, 지속 가능성을 함양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하며 수동태, 현재완료, 조동사의 사용 맥락이생태시민성의 개념과 유의미하게 연결될 수 있었다.
셋째,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영어 프로그램은 영어 교육적 목표와 환경 교육적 목표를 함께 선정하고 아마존 우림 파괴를 주제로 스토리북, 동영상, 뉴스 컨텐츠 등을 교재로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생태시민성 교육은 영어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하나인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소재들이 공동체 역량 하위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과 공동체 역량의 하위 요소들은 생태시민성의 특징인 비 영역성, 덕성, 책임과 관계성, 참여, 지속가능성의 내용 요소와 의미 있게 연결되었다. 이를 통해 생태시민성 교육이 영어과 교육에서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영어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관계성, 참여, 지속 가능성을 함양하는 목표를 설정함과 동시에 언어적 목표를 제시할 수 있다.
환경의 주제를 다루면서 특정 어휘를 학습하는 것도 영어과 교육의 목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영어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언어 사용의 맥락적 측면이 고려된다면 영어과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영어과 교육이 환경 교육과 다소 거리가 있는 과목으로 인식된 데에는 이러한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환경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 교육적 주제들과 유기적인 관련성을 갖는 다양한 언어 요소나 소재들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과에서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언어 학습적 목표를 잘 녹여내기만 한다면 스토리 북, 뉴스 컨텐츠, 동영상 등의 진정성 있는 자료(authentic materials)를 주 교재로 사용할 수 있어 시의성이 있는 내용을 교육과정에 구애받지 않고 다룰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영어과 교과는 내용적 측면에서 융통성과 활용도가 높은 교과이다. 기능 교과로서 교육 내용에 대한 성취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 걸친 주제들을 소재로 다룰 것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측면을 잘 활용한다면 영어과 교육은 현재와 같은 분산적 환경교육 상황에서 환경교육의 저변을 넓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에서 환경교육을 성취 기준과 내용 체계에 반영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육을 지향하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 프로그램의 설문조사는 충북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여러 지역을 포함한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의 대표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조직 원리가 논리적 근거를 통해 뒷받침되었으나 이 연구는 중학교 생태시민성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평가의 단계가 생략되어 그 효과를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 김미진, 2019,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에 반영된 교과 역량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 연구』, 23(2), pp.108-117.
- 김병연, 2012, “생태시민성과 지리과 환경교육:‘관계적 지리’담론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원군.
- 김소영・남상준, 2012, “생태시민성 개념의 탐색적 논의: 덕성과 기능 및 합의 기제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25(1), pp.105-116.
- 김찬국, 2013, “생태시민성 논의와 기후 변화 교육,” 『환경철학』, 16, pp.35-60.
- 김찬국, 2016, “생태발자국 의미 요소를 활용한 생태시민성 함양 연구,” 『환경학 교육연구』, 20, pp.1-14.
- 김찬국, 2019, “환경 교육 국제 협력과 상호 학습을 통한 우리나라 환경 교육의 제도와 정책 개선 방향 탐색,” 『환경교육』, 32(4), pp.379-391.
- 김희경, 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 본 에코맘과 교육적 함의,” 『시민교육연구』, 44(4), pp.55-75.
- 김희경・신지혜, 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의 환경 교과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pp.125-141.
- 박순열, 2010a,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ECO』, 14(1), pp.167-194.
- 박순열, 2010b, “한국 생태시티즌십 인식 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ECO』, 14(2), pp.7-52.
- 박우용, 2020, “고등학교 기후변화 동아리 프로젝트 활동이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송가영・주혜은・마틴 산야・김호정, 2018,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환경교육』, 31(2), pp.132-152.
- 이소영, 1999, “영어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체계화 및 강화 방안,” 『환경교육』, 12(1), pp.99-109.
- 채유정, 2018, “먹거리 시민성 함양을 위한 초등 사회과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 최숙희, 2007, “영어교육에서의 전통적 가치관과 미국문화,” 『영어어문교육』, 13(1), pp.261-282.
- 허수미, 2016, “지속 가능성에 기반한 사회과 환경 교육의 재구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pp.351-377.
- 환경부, 201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한민국 환경 교육』, 세종: 환경부.
- Cherry, L., 1990, The great Kapok tre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 Graddol, D., 2006, English next, London: The British Council.
- Karatekin, K. and C. Uysal, 2018, “Ecological citizenship scale development study,”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8(2), pp.82-104.
- Lee, S. K. and N. Kim, 2017,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of Korea: Context, development and challenges,” Japanes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4), pp.7-14. [https://doi.org/10.5647/jsoee.26.4_7]
박수경: 한국교원대학교 석사과정, 중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중이며 영어과에서의 환경교육 실현방안에 관심이 있다(tudulu@naver.com).
남영숙: 베를린공과대학교에서 환경계획학과 공학박사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환경 교육과 교수이자 황새 생태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환경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대통령 부속 세종-제주 지방자치균형발전특별위원회 위원, 충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공동대표 등으로 활동 중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환경영향평가, 지속가능발전, 환경교육, 환경정책이다(ysnam@knue.ac.kr).